'새빛수원 손바닥정원단' 단원들이 망포동 방죽공원 수국정원 조성 공사에 참여해 수국 400주를 심는 모습. 사진제공=수원시
수원시는 11일 손바닥정원이 1년 6개월만에 450여개가 조성됐다고 밝혔다. 오는 2026년까지 조성 목표 1천개 손바닥 정원의 50% 가까이 근접했다.
집 부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마을 공터와 자투리땅, 공동주택 단지 사이 관리가 모호한 공간 등 도심 곳곳에 작은 공간이 숨어 있다.
이런 공간을 능동적으로 찾아내고 시민들이 직접 꽃과 나무를 심고 가꾸며 5분마다 작은 정원을 만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손바닥정원 사업의 핵심이다.
시는 2022년 말부터 손바닥정원 밑그림을 그렸다. 손바닥정원 개념을 정립하고 추진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했고, 조성 지침도 만들었다.
점형이나 선형을 포함해 공중과 그릇 등 형태에 구애받지 않는다. 옥상과 실내는 물론 보행 공간과 상가 자원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는 치유와 쉼부터 놀이와 배움까지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처럼 짧은 기간에 손바닥정원 사업이 좋은 성과를 낸 것은 정원문화를 만들어 가는 시민 봉사단체 손바닥정원단 단원 856명의 노력 덕분이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정원단은 시 식목행사 홍보부스 운영, 손바닥정원 모니터링, 가드닝의 날 참여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삭막한 도심을 녹색의 공간으로 바꾸고 있다.
손바닥정원 사업은 마을에 변화를 불러왔고, 주민의 화합을 이끄는 촉매가 됐다고 시는 평가했다.
이재준 시장은 지난 10일 '손바닥정원단 리더그룹 만남의 날' 행사에서 "더 많은 시민·단체에 손바닥 정원의 가치를 알리고, 정원을 만들다 보면 수원은 녹색 쉼터가 가득한 도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