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패션플랫폼 3사가 모두 전년 대비 매출 상승을 기록했지만 신세계 계열 플랫폼인 W컨셉만 전년 동기 대비 17.7% 하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W컨셉 홈페이지 갈무리
16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패션플랫폼 3사가 모두 전년 대비 매출 상승을 기록했다. 무신사 20%, 에이블리 40%, 지그재그 27% 등이다. 이 가운데 신세계 계열 플랫폼인 W컨셉만 매출 564억원으로 전년 동기 685억원 대비 17.7% 하락했다.
W컨셉 측은 "PB매출이 줄면서 매출이 감소했지만 거래액은 전년대비 13% 성장했다"면서 "영업이익도 10억원 흑자 등 재무 건전성이 개선됐다"고 강조했다.
신세계는 2021년 4월 W컨셉을 2650억원에 인수했다. W컨셉의 인수 전 매출과 영업이익은 2020년 각각 717억원, 6억원이다. 인수 이후 매출과 영업이익이 성장했으나 경쟁사에 비하면 만족스럽지 않은 수준이다. 최근 3년간 W컨셉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021년 1013억원, 30억원 ▲2022년 1367억원, 30억원 ▲2023년 매출 1426억원, 영업이익 12억원이다.
지난해는 수익이 65.7% 감소했다. 같은 기간 에이블리가 전년 영업손실 744억원에서 흑자전환하며 영업이익 33억원을 올려 800억원 가까이 수익을 올린 것과 대조된다. 업황이 좋지 않았다고 하기엔 아쉬운 성적이다.
━
G마켓 하반기 실적에 업계 관심━
G마켓은 정형권 대표 취임 후 멤버십 강화를 위주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사진은 지난 8~9월 진행한 멤버십 혜택. /사진=G마켓
G마켓 최근 3년 매출은 ▲2021년 1조3519억원 ▲2022년 1조3185억원 ▲2023년 1조1967억원으로 소폭 하락했지만 영업이익은 ▲2021년 43억 ▲2022년 영업손실 655억 ▲2023년 영업손실 321억원 등 지속 적자를 보이고 있다. 인수 직전년도 G마켓은 영업이익은 850억원이었다.
올해 상반기 G마켓 매출은 1분기2552억원, 2분기 252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5.8%, 13.9% 줄어들었다. 영업 손실은 1분기 85억원, 2분기 76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각각 22.0%, 32.7% 개선됐다. 다만 상반기는 정 대표 취임 이전 실적이 반영된 수치다.
G마켓은 정형권 대표 취임 이후 신세계 유니버스클럽 혜택 강화, SK텔레콤 제휴 등 멤버십을 기반으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지난달 27일 G마켓은 창사 이래 첫 희망퇴직을 실시했다. 업계는 저조한 실적이 계속되자 정 대표가 비용 효율화를 위해 결단을 내린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하반기 신세계 이커머스가 유의미한 실적 개선을 이뤄낼지 업계의 이목이 쏠린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