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남구 신선대(사진 아래) 및 감만(위) 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사진=뉴시스
지난 3분기 우리나라의 실질 GDP(국내총생산)가 전기 대비 0.1% 성장하는데 그쳤다. 내수가 회복세를 보였지만 수출이 예상보다 부진했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 속보치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실질 GDP는 전기대비 0.1% 성장했다. 1년 전과 비교해서는 1.5% 성장이다.

민간소비는 재화(승용차, 통신기기 등) 및 서비스(의료, 운수 등) 소비가 늘며 0.5% 증가했다. 정부소비는 건강보험급여비와 같은 사회보장현물수혜를 중심으로 0.6% 늘었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모두 줄면서 2.8% 감소했으며 설비투자는 기계류(반도체 제조용장비 등)와 운송장비(항공기 등)가 모두 늘면서 6.9% 증가했다.

수출은 자동차,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0.4% 감소했다. 2022년 4분기(-3.7%) 이후 7분기 만에 마이너스 수출이다. 3분기 성장률에서 순수출 기여도는 -0.8%포인트를 기록했다. 반면 수입은 기계 및 장비 등이 늘어 1.5% 증가했다.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은 농림어업은 축산업 등을 중심으로 3.4% 증가했다. 제조업은 운송장비, 기계 및 장비 등을 중심으로 0.2% 늘었고 전기가스수도사업은 전기업 등이 늘어 5.1% 증가했다. 건설업은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0.7% 줄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등이 줄었으나 의료,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과 운수업 등이 늘어 0.2% 증가했다.

3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분기 보다 0.5% 증가해 실질 GDP 성장률(0.1%)을 웃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