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사들도 대부분 생소하게 여기는 식재료 '천마'를 맛보기 위해 산지인 전라북도 무주를 찾았다. 천마가 바구니 안에 담겨 있다. /사진=다이어리알
최근 미식 업계를 이끄는 셰프들이 새롭게 주목하는 식재료 '천마'는 아직 대중에게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 천마는 전북 지역에서도 해발 고도가 높은 곳에서 채취되는 산물이다. 생김새는 마를 닮았으나 마과가 아닌 난초과 식물이다. 땅속에서 자라지만 버섯처럼 나무에 접해 균으로 자라난다. 향이 강해 생으로 먹기보다 열을 가해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생천마는 10월 중순부터 연말까지 한정된 시기에 수확한다. 산지에서 삼겹살과 함께 구워 먹으면 쫀득한 식감과 쌉쌀한 땅 내음이 일품이다.
◆용추폭포가든
용추폭포가든은 국내 최대 천마 산지인 전북 무주군 안성면에 위치했다. 사진은 용추폭포가든의 외관. /사진=다이어리알
지역 명소 용추폭포 바로 옆 용추폭포가든은 손꼽히는 천마 맛집이다. 주인장의 남다른 솜씨는 생소한 식재료인 천마를 누구나 즐길 수 있도록 맛깔스럽게 풀어낸다. 최근에는 천마 요리를 한수 배우기 위해 서울의 유명 셰프들이 다녀가기도 했다.
주인장 김태종, 이금숙씨 부부는 무주 토박이로 두 사람 모두 안성면이 고향이다. 어린 시절부터 나고 자란 지역의 식재료를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기에 계절에 맞게 능숙하게 다룬다. 대표 메뉴는 생천마를 활용한 천마토종백숙이다.
용추폭포가든은 싱싱한 천마를 활용한 백숙 등 메뉴를 선보인다. 사진은 용추폭포가든의 천마토종백숙. /사진=다이어리알
삼겹살 메뉴도 있는데 천마 수확 시기를 맞춰 생천마와 함께 구워 먹어 볼 것을 추천한다. 지역 주민들이 가장 보편적으로 생천마를 즐기는 방식으로 천마 맛의 진수를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불낙전골도 산행을 마치고 하산하는 여행객들의 발길을 붙잡는 메뉴다. 낙지와 맛깔스럽게 양념한 소불고기, 그리고 숲의 정기를 머금은 신선하고 향기로운 표고버섯과 새송이버섯이 들어간다. 이뿐 아니라 국물에 개운하고 얼큰한 맛을 더하는 배추와 콩나물, 매일 정성껏 끓이는 채소 육수 등 들어가는 재료 하나하나가 주연 배우급인데 다채로운 식재료가 한 데 모여 풍성한 맛의 조화를 이끌어 낸다. 맑은 술이나 탁주와도 궁합을 이룬다.
◆무주어죽
무주어죽은 천마를 활용한 어죽 메뉴가 있다. 사진은 무주어죽의 천마어죽. /사진=다이어리알
◆고솜
고솜은 천마를 활용한 오일 파스타 등 메뉴가 있다. 사진은 고솜 천마 오일 파스타. /사진=다이어리알
◆무에르
무에르는 무주IC 만남의광장 내 카페로 천마의 대중화를 위한 디저트를 개발한다. 사진은 천마튀일과 천마스노우볼. /사진=다이어리알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