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가 최근 노조에서 주장한 영남권 분할 매각 의혹은 검토한 바 없다는 입장을 전했다. 사진은 홈플러스 강서 본사. /사진=홈플러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지부는 지난 15일 성명을 내고 "부산·울산·경남지역의 정년을 앞둔 직원들이 먼저 희망퇴직을 신청하고 나머지 직원들이 업무 부담 가중이 두려워 희망퇴직 신청이 폭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희망퇴직 신청자가 급증하자 회사는 단기 아르바이트생을 모집해 인력 충원에 나섰다"며 "회사가 인력난을 자인하면서도 무계획적인 구조조정을 시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홈플러스는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인력 수급 불균형이 심화했다고 보고 10년 이상 근속 직원을 대상으로 지난 12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노조는 이번 희망퇴직이 단순 인력 감축을 넘어 영남권 분할 매각 또는 홈플러스 매각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고 주장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지난해부터 슈퍼마켓 부문인 익스프레스 분할 매각도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조는 2025년 단체교섭에서 '매각 시 보충 교섭'을 요구안으로 제출했다.
홈플러스 사측은 노조 성명과 관련해 입장문을 내고 "희망퇴직은 자발적으로 퇴직을 희망하는 직원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이며 지원 규모에 따라 지역 인력 운영계획이 완료되면 곧 인력재배치를 시행할 예정"이라며 "현재 진행하고 있는 파트타임 직원 채용은 최대 성수기를 맞아 매년 명절 때마다 시행해왔던 것으로 이번 희망퇴직과는 전혀 무관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영남권 점포들을 분할 매각할 것이라는 노조의 근거 없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는 2015년 9월 7조2000억원에 홈플러스를 인수했다. 블라인드 펀드로 2조2000억원을 투입하고 나머지 5조원을 홈플러스 명의로 대출받아 인수자금을 충당했다. 이후 MBK는 지금까지 홈플러스 점포 20여개를 팔아 4조원 가량의 빚을 갚았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