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의 개인정보 유출 논란이 불거지자 이용자들이 안전한 이용법을 찾아 나섰다. 중국 인공지능 스타트업이 개발한 딥시크 앱. /사진=로이터
7일 뉴스1에 따르면 유튜브에 '딥시크'를 검색하면 '탈옥' '로컬 설치' 등 개인 PC에 딥시크 모델의 소스코드를 설치하는 법을 안내한 영상이 뜬다. 영상들은 게시된 지 일주일쯤 지났지만 조회수는 1만회를 넘었다. 한 이용자는 개인 블로그에 "가짜 이메일 주소와 버릴 전화번호로 계정을 생성하거나, VPN을 통해 해외 IP 주소로 딥시크 웹 사이트에 우회 접속하라"고 안내하기도 했다.
딥시크 AI 모델을 이용하려면 웹 페이지나 앱에 접속해야 한다. 서버(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나 장치)가 중국에 있기에 한국에서 서비스를 실행하더라도 입력한 정보는 중국으로 넘어간다. 딥시크 개인정보 정책에는 '당사는 수집한 정보를 중화인민공화국에 위치한 보안 서버에 저장합니다'라는 문구가 있다.
전문가들은 소스코드에 악성코드가 포함되는 위험만 피하면 직접 기기에 설치해서 구동하는 방식이 정보 유출을 막을 방법이라고 했다. 소스코드를 개인 기기에 설치하면 입력한 정보도 기기 내에서만 처리된다.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가 중국에 없기 때문이다.
이재성 중앙대 AI 학과 교수는 "소스코드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해킹용 악성코드가 함께 딸려 올 위험은 있지만, 딥시크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AI 모델 코드를 설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사례"라며 "전문 개발자가 이를 피할 수 있다면 코드 설치가 중국으로의 정보 유출을 막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외교부, 국방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정부 부처와 금융감독원, 수출입은행 등 금융권, 카카오, LG유플러스 등이 줄줄이 업무 목적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