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뉴클리어 파워'라고 불렀다. 사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사무총장과 회담하는 모습. /사진=로이터
지난 13일(이하 현지시각) 뉴시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 회담에 앞서 김 위원장과 관계를 1기 때처럼 다시 구축할 것이냐는 취재진 질문에 "그렇게 할 것"이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김정은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고 무슨 일이 일어날지 지켜보겠다"며 "우리는 싱카프로에서, 베트남에서 만났다. 정말 잘 지냈고 좋은 관계를 맺었으며 여전히 그렇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정은은 '뉴클리어 파워'인 것이 분명하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 소련의 과거 핵군축을 언급하면서도 "김정은은 핵무기를 많이 갖고 있다"며 "인도나 파키스탄 등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라고 언급한 바 있다. 취임식 직후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하는 과정에서도 북한을 '뉴클리어 파워'라고 지칭했다.
국제사회와 역대 미국 정부는 그동안 외교·군사적 파장을 감안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았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연일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한때 미국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북핵 정책 변화를 시사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으나 백악관은 지난달 북한에 대한 완전 비핵화 추진 입장을 재확인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첫 임기 때 이뤄진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해 "만약 내가 당선되지 않고 (2016년 대선에 출마했던) 힐러리(클린턴)가 (백악관에) 들어갔다면 여러분은 북한과 핵전쟁을 했을 것이며 수백만 명이 죽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김정은)는 (버락) 오바마는 만나지 않았으며 전화도 받지 않았다"라며 "나와는 거칠고 험난하게 시작했으나 우리는 만났다"고 말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으로 한국은 올림픽에서 엄청난 성공을 거뒀다"며 "(그전에는) 사람들이 핵 공격을 당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아무도 표를 사지 않았는데 내가 (김정은을) 만났고 올림픽이 성공했을 뿐 아니라 북한이 올림픽에 참가했다. 그것이 트럼프 정부의 훌륭한 업적"이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올림픽은 2018년 평창에서 열린 동계올림픽으로 보인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설명과 달리 평창 동계올림픽은 2018년 2월 개최됐고 1차 북미정상회담은 그 해 6월에 열렸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