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이 제61기 주주총회에서 수소 사업 등 신사업 관련 '목적사업 정비의 건'을 의결했다. 사진은 삼성물산 본사 모습. /사진=뉴시스
삼성물산이 상사·건설 등 회사 주요 사업부문의 미래 수익 모델로 '수소'를 낙점했다.
삼성물산은 14일 오전 서울 강동구 글로벌엔지니어링센터 본사에서 제61기 주주총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목적사업 정비의 건'을 의결했다.

삼성물산은 주총에서 목적사업에 ▲수소 발전 및 관련 부대사업 ▲의약품 등의 연구개발(R&D) 지원 ▲수탁사업 및 관련 서비스업 ▲통신판매중개업 등을 추가했다.


삼성물산에 따르면 수소 발전·부대사업의 경우 수소사업 역량을 확보하고 사업을 구체화하기 위한 차원이다. 삼성물산은 현재 신재생에너지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김천 태양광 발전소와 연계한 그린수소 실증사업을 추진중이며 상사부문도 수소·암모니아 관련 트레이딩 투자 등 사업 기회를 검토하고 있다.

의약품 신사업은 기존에 추진한 바이오 라이프 사이언스 관련 바이오 펀드 투자, 공동 R&D 참여 등 미등록 상태의 내용을 추가한 것이다.


통신판매중개업을 목적사업에 추가한 것은 플랫폼을 확대하기 위한 포석이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홈플랫폼 '홈닉'에 이어 상업용 빌딩 관리용 플랫폼 '바인드'(Bynd) 서비스를 출시한 바 있다.

이날 주총에서 '2024년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을 비롯해 내부거래위원회를 ESG위원회로 개편하는 '이사회 및 위원회 관련 정관 정비의 건', 개정된 상법과 공정거래법 등을 반영한 '기타 법령 등에 따른 정관 정비의 건' 등 안건이 통과됐다.

오세철 삼성물산 대표이사 사장은 "올해 불확실한 경영환경이 지속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경영환경 급변에 선제 대응해 리스크 관리 수준을 강화하고 운영 내실을 다지며 주요 상품과 시장을 확대해 신사업 성과 창출과 수익성을 견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오 사장은 지난해 보수 총 22억3600만원을 수령했다. 급여 8억400만원과 상여 13억7900만원, 기타 근로소득 5300만원 등이다. 등기임원 5명의 평균 보수는 14억6300만원이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18조6550억원, 1조10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각각 3.4%, 3.2%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