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기각 결정에 '역사적 결정'이라고 평가했다. 사진은 한덕수 국무총리의 탄핵심판 선고 날인 2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심판정에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을 비롯한 재판관들이 착석해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공동취재단)
24일 뉴시스에 따르면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지난해 12월27일 야당은 '비상계엄 선포 방조', '헌재 재판관 임명 거부'라는 터무니없는 이유로 탄핵소추안을 밀어붙였다. 입법부 권한을 도구 삼아 국정을 흔들려는 이 무리한 시도는 87일 만에 헌재의 단호한 기각 결정으로 마침표를 찍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신 수석대변인은 "이번 결정은 '정치가 넘지 말아야 할 선, 헌법이 지켜야 할 경계가 분명히 존재한다'는 사실을 천명한 것이다. 정치적 목적을 위해 국정을 공백 상태로 몰아넣은 민주당 책임은 매우 무겁다"며 "국정의 중심을 책임지는 국무총리를 탄핵하려 한 시도는 입법권을 무기 삼아 국정을 흔드는 치욕적인 선례로 기록될 것이다. 헌재의 기각 결정은 헌정 질서를 흔드는 '무책임한 정치'에 대해 단호히 일침을 가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제 중요한 것은 국정 정상화와 혼란의 수습이다. 한 총리가 즉각 업무에 복귀해 그동안 정체됐던 국정의 동력을 회복해야 한다"며 "경제, 통상, 안보 현안에 다시 속도를 내고 특히 한미 간 주요 외교 일정과 전략 현안도 안정적으로 풀어나가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대한민국 정치가 다시는 헌법을 정치 도구로 삼는 어리석음을 되풀이하지 않길 바란다. 민주당은 무소불위의 의석수를 무기로 무책임한 탄핵 정국을 주도한 것에 대해 뼈저리게 반성하고 국민 앞에 사과하라"면서 "이제라도 정쟁과 극단적 대립이 아닌, 민생과 국익을 위한 책임 정치에 복귀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