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한길에게 '쓰레기'라고 욕했다는 당사자가 입장을 밝혔다. 사진은 '대통령 탄핵반대 광주·전남 애국시민 총궐기집회'에서 전한길 역사강사가 발언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지난 24일 입시전문가인 김호창 업스터디 대표는 이날 자신의 SNS에 전한길과의 인연을 소개하며 입장을 전했다. 김 대표는 전한길이 파산하고 자신을 찾았을 때 형편이 좋지 않았으나 자신의 것까지 내어주며 극진히 보살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한길이가 재기하겠다며 돈이 필요하고 할 때 그를 데리고 다니며 함께 구걸하다시피 했다"며 "파산의 끝에서 극단적 선택을 하려 할 때도 뜬눈으로 그를 잡고 지켰다"고 밝혔다. 이어 "전한길이 가장 친한 친구조차 자신을 '쓰레기'라고 했다는 기사를 봤다"며 "친구끼리 정치적 색깔이 다를 수 있다. 윤석열 옹호하고 비난받을 때도 마음은 타들어 갔지만 전혀 내색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김 대표가 전한길에게 등을 돌린 것은 광주 때문이었다. 김 대표는 "광주에 내려가 계엄령을 옹호하겠단 기사를 보고 더 이상 참을 수가 없었다"며 "형제와 부모를 잃은 그들 앞에서 '계몽령'이란 건 아주 악랄한 조롱"이라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전한길에게 "광주에 가지마라" "가려면 가서 사죄해라" "광주에서 계엄령을 옹호하는 건 세월호 때 자식 잃은 부모들이 단식하자 옆에서 짜장면 먹으며 시시덕거리던 일베놈과 다를 게 없다. 간다면 너는 정말 쓰레기"라고 만류했으나 소용없었다고 전했다.
김 대표는 "페북(페이스북)에 그 글을 올리자 내게 친구로선 하지 못 할 말을 했다. 아마 10년 후쯤 후회할 말일 것"이라며 "그래서 다시 한번 '인연을 끊자 쓰레기야'고 했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 정치적 입장이 달라서가 아니라 쓰레기 같은 짓을 하기에 친구로서 반드시 말해줘야 할 말이기에 그렇게 말했다"며 "죽을 때까지 반성하지 않고 죽은 전두환을 싫어하듯 너도 반성하지 않으면 하늘에서도 볼 일은 없다"고 강조했다.
전한길은 지난 23일 광주 서구 안디옥교회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 반대 광주·전남 애국시민 총궐기 집회에 참석해 "정치를 시작한 후 친구들과 적이 됐다. 연락이 되지 않고 제일 친한 친구가 저보고 쓰레기라고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