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 고려아연 본사 전경. /사진=고려아연
고려아연은 한화그룹과 원활한 협의를 거쳐 주식 매각을 진행했으며 거래 가격은 당시 시가에 따라 결정됐다고 26일 밝혔다.
앞서 MBK파트너스는 최윤범 회장 등 고려아연 최고경영진을 상대로 '㈜한화 주식 헐 값 처분으로 인한 회사 손실을 보전하라'며 주주 대표 소송 절차에 착수했다.
고려아연은 지난해 11월 보유한 ㈜한화 지분 7.25%(543만6380주)를 시간외대량매매로 한화에너지에 넘겼다. 주당 매각가는 2만7950원으로, 2022년 고려아연이 자사주 교환 방식으로 ㈜한화 지분을 매수할 당시 가격보다 3% 낮은 가격이어서 명목상 약 49억원의 손실을 봤다고 MBK는 주장한다.
고려아연은 상법 및 내부 규정을 철저히 준수해 거래를 진행했고 회사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조치였다고 반박했다.
고려아연은 지난 2년간 ㈜한화를 비롯한 한화그룹과 신재생에너지와 자원순환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협업을 해왔으며 최근에도 각종 사업을 함께 하는 등 끈끈한 협력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고려아연의 호주 신재생에너지 및 그린수소 사업 전문 자회사인 아크에너지(Ark Energy)와 한화에너지가 '리치몬드 밸리 배터리 에너지 저장시스템'(Richmond Valley BESS)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지난 21일에는 고려아연이 국내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전략적 파트너쉽 확보를 위해 한화신한테라와트아워에 지분 33.3%를 투자키로 했다. 고려아연은 한화그룹과 함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유동성 측면에서도 이득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2023년과 2024년에는 ㈜한화로부터 주당 750원의 결산배당을 받아 총 81억6567만원의 수익을 내기도 했다. 결과적으로 고려아연은 ㈜한화 지분 보유와 처분으로 지난 2년여간 총 1601억원의 수익을 올린 것이다. 고려아연은 2022년 11월 ㈜한화 주식을 매입하는 데 총 1568억3956만3000원을 투입했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현재와 미래의 가치를 높이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고려아연 주주들에도 명백한 이익이라고 볼 수 있다"며 "신재생에너지와 자원순환 분야 등 신사업 부문에서 양측의 협력 관계가 굳건하다"고 밝혔다.
이어 "MBK파트너스와 영풍이 또다시 사실과 다른 허위 주장으로 불필요하고 소모적인 소송전을 일으키며, 법꾸라지 행태와 여론 호도를 이어가고 있다"면서 "고려아연은 이미 공개적으로 두 차례에 걸쳐 ㈜한화 주식을 매각한 배경에 대해 설명했지만, MBK·영풍은 앵무새처럼 왜곡된 주장을 반복하고 이를 언론에 지속적으로 배포하며 당사의 명예를 의도적으로 실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