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율주행산업협회장을 맡고 있는 조성환 전 현대모비스 사장이 2025서울모빌리티쇼 현장을 찾아 한국의 자율주행산업에 대한 전망과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 언급했다. /사진=김창성 기자
"한국의 자율주행산업은 이제 열매를 맺기 시작했다."
한국자율주행산업협회장을 맡고 있는 조성환 전 현대모비스 사장은 4일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 1전시장에서 개막한 '2025서울모빌리티쇼'에 참석해 국내 자율주행기술의 현황을 묻는 머니S의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조 협회장은 "행사가 자동차를 넘어 종합 모빌리티쇼로 발전하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며 "미래 모빌리티를 살필 수 있는 다양한 테마가 소개됐고 이런 것들이 자율주행산업과 같이 융합되니 더 의미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모빌리티쇼에 중국 업체 BYD가 참여한 것 역시 앞으로 새로운 모멘텀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고 짚었다.

조 협회장은 한국 자율주행산업에 대한 현주소도 짚었다. 그는 "자율주행은 그동안 진행한 기술 개발과 투자 성과가 이제 열매를 맺기 시작해 이번 서울모빌리티쇼를 통해 처음으로 이를 알리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 지속해서 발전해 나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산업통상자원부의 관련 프로젝트뿐만이 아니라 우리 협회나 자동차공학회, 모빌리티협회 등이 뭉쳐서 제대로 된 상업화로 가는 디딤돌이 됐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조 협회장은 정부의 지원과 국회의 관련 입법 중요성도 언급했다. 조 협회장은 "관련 입법에 대해서도 많이 얘기를 나누고 있는데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많이 얘기를 하지만 하루아침에 이루어질 것으로는 보지 않는다"고 짚었다. 이어 "최근 중소벤처기업부의 옴부즈만과 관련 업체끼리 간담회도 있었고 국회에서 간담회도 있었다"며 "이 같은 여러 경로를 통해 계속해서 소통 경로를 넓히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범정부 차원의 대대적인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조 협회장은 "자율주행산업은 워낙 파급력이 크기 때문에 범정부 차원의 관련 기구가 갖춰지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제대로 갖춰진 범정부 조직의 구체적인 지원과 업계의 실행력이 만나면 자율주행산업의 상업화가 더 빠르게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관련 산업이 제대로 형성되려면 기술 개발과 시장, 인재가 필요하다"며 "기술은 투자가 뒷받침돼야 하고 시장은 지원이 있어야 열리고 인재는 정부 차원의 양성 계획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조 협회장은 "한국 자동차산업 생산량이 글로벌 3위 규모이기 때문에 자율주행산업도 집중 육성한다면 충분히 글로벌 리더의 위치에 오를 수 있다고 본다"며 "빨리 상용화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과 많은 실증 사업이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