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마케팅 대행사 에코마케팅에 대해 KB증권이 투자의견 '매수'를 제시했다. /사진=에코마케팅 홈페이지 캡처
KB증권은 8일 리포트를 통해 에코마케팅의 목표주가를 하향한 이유는 올해 에코마케팅 영업이익 추정치를 9.7% 하향 조정한 데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올해 에코마케팅의 기업가치 상승 요인으로 ▲K-뷰티 진출 ▲광고 부문 확대 ▲안다르 해외 확장 등을 꼽았다.
최용현 KB증권 연구원은 "화장품 브랜드 믹순과 글루가 등 에코마케팅의 기존 성공 레포런스와 마케팅 역량을 고려할 때 기대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했다. "안다르는 호주와 미국 진출을 계획 중이나 치열한 시장 경쟁 상황을 감안하면 성과를 보이는 데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KB증권은 올해 1분기 에코마케팅 실적을 매출액 615억원, 영업이익 40억원으로 예상했다. 이는 기존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한 수치다.
특히 광고 부문은 부진한 경기와 비수기를 감안했을 때 전년 동기 대비 5% 역성장이 예상된다고 했다. 각 브랜드 별로는 뷰티 브랜드 데일리앤코의 경우 신규 출시 상품의 성과가 미미하여 부진이 계속될 것으로 봤다. 반면 스포츠 의류 브랜드 안다르는 비수기임에도 시장 점유율 증가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최 연구원은 "에코마케팅은 그동안 K-뷰티 부문에서도 마케팅 역량을 이미 증명했으나 소규모 지분과 마케팅에만 한정된 업무로 실질적인 실적 기여도가 제한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제는 K-뷰티에서 유의미한 지분을 확보하고 사업 역할도 확장할 계획"이라며 "올해 2분기부터는 구체화된 계획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에코마케팅은 최근 광고 부문에서 인력 확충으로 광고시장 내 성장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바꿨다. 기존 광고 전략은 한정된 인력으로 제한된 광고수주를 영입하여 ROI(투자수익률)을 극대화했다.
최 연구원은 "광고 부문 성장은 올해 2분기부터 기대되고 주주 환원 재원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며 "리스크 요인은 데일리앤코의 역성장이 7분기째 지속된다는 점인데 전략 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