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응급의료과장을 비롯해 소방 관계자, 11개 시군 보건소장, 권역 및 지역응급의료센터장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8일 한림대학교성심병원에서 개최한 서남권역 응급의료협의체 회의 모습. /사진제공=경기도
경기도가 응급의료 공백 최소화를 위해 인구 547만 명에 달하는 서남권 응급의료 협력체계 구축을 본격화한다.
경기도는 8일 안양시 한림대학교성심병원에서 시군 간 연계를 중심으로 한 응급의료체계 구축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서남권역 응급의료협의체'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경기도 응급의료 현황과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운영 사례, 중증환자전담구급차(MICU) 운영 현황을 공유하고 119구급 스마트 시스템을 소개했다. 특히, 서남권 지역의 전원·이송 체계 개선, 시군 간 기능 연계, 응급의료 협력 거버넌스 구축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경기 서남권은 수원·안양·안산·과천·광명·군포 등 11개 시군으로 구성된 도내 최대 응급의료 권역으로, 거주 인구가 540만명이 넘는 인구 밀집 지역이다.

시군 간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생활권을 공유하는 구조로 인해, 응급의료 수요 또한 특정 시군에 국한되지 않고 권역 전체에서 실질적으로 함께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응급의료기관은 총 29개소가 분포하고 있어 수적으로는 많은 편이지만, 의료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시군이 존재한다. 시군 간 의료기관의 기능과 수용 여건에도 차이가 있어, 환자 전원이나 이송이 관할 시군을 넘어 인접 시군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유권수 경기도 응급의료과장은 "경기도는 지난해 의료대란 당시 총 413억 원의 긴급 예산을 투입해 중증응급환자 진료 공백을 최소했다"면서 하지만 "의료 현장의 완전한 회복에는 지속 가능한 지역 협력 기반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