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제21대 대통령 선거 핵심 공약으로 주 4.5일제와 주 52시간 규제 완화를 핵심으로 둔 유연근무제를 약속했다. 사진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발언 중인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가운데)의 모습. /사진=뉴시스
14일 뉴시스에 따르면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 본관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국민의힘은 법정 근로 시간을 유지하되 실질적인 4.5일제 이점을 노리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 대선 공약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권 비대위원장은 울산 중구청에서 시행 중인 '금요일 오후 휴무' 제도를 소개하며 "직원들은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하루 8시간 기본 근무 시간 외에 한 시간씩 더 일하고 금요일에는 4시간만 근무한 후 퇴근하는 방식"이라며 "총 근무 시간이 줄지 않기 때문에 급여에도 변동이 없다"고 설명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더불어민주당의 4.5일제는 근로 시간 자체를 줄이는 비현실적인 포퓰리즘"이라며 "근로 시간을 줄이게 되면 받는 급여도 줄어드는 게 상식이라는 비판에 대해 민주당은 설득력 있는 설명을 내놓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유연근무제를 도입하더라도 생산성과 효율성이 전제돼야 한다"며 "주 4.5일제 검토와 함께 업종 특성을 고려한 주 52시간 폐지도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산업현장의 유연한 근무환경이 필요하다"며 "반도체 등 첨단산업을 비롯해 주 52시간 규제로 인해 생산성이 저해되고 있는 산업을 면밀히 분석해서 실질적인 제도 개선 방안도 함께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일률적인 주 5일 근무와 52시간 상한 규제는 오히려 생산성과 자율성 모두를 저해할 수 있다"며 "산업별, 직무별, 생애 주기 별로 다양한 근무 형태가 가능한 선진형 근로 문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