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이하 현지시각)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상호 관세가 실제로 부과될 경우 연준은 금리 인하를 빠르게 여러 차례 단행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 유예 기간 종료 후 대규모 관세를 실제로 적용하면 미국 경제성장은 사실상 멈추고 실업률은 4.2%에서 5% 이상으로 크게 오를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관세가 단기적으로 물가상승률을 최대 5%까지 자극할 수 있지만 이는 일시적일 것"이라며 "오히려 생산과 고용에 미치는 영향은 더 오래 지속될 수 있다. 경기 둔화가 심각해져 침체 우려로 이어지면 지금보다 더 빠르고 큰 폭의 금리 인하가 필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윌러 이사의 주장은 연준의 기존 입장과는 차이가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트럼프의 관세 발표 이후 "관세 규모가 예상보다 크고 미국 인플레이션에 지속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며 관세로 인해 연준의 금리 인하 시작이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준은 올해 들어 기준금리를 4.25~4.5% 수준에서 동결했다. 트럼프발 무역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하면서 경제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월러는 "만약 90일 유예가 무역장벽을 줄이기 위한 협상의 시작이라면 연준도 금리 인하에 더 인내할 수 있다"며 "관세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미국을 다시 제조업 국가로 만들기 위한 전략이라면 그 변화는 매우 극적인 것이고 최소 3년 이상 걸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에 발표한 상호 관세를 90일 동안 유예했다. 아울러 지난 11일 휴대폰, 반도체 제조 장비, 일부 컴퓨터 등 품목은 상호관세 대상에서 일시 제외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