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물가 상승, 경기 침체 위험 등을 언급하며 금리 신중론을 말했다. 사진은 파월 의장이 지난달 19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 금리 정책에 대해 회의 내용을 기자회견에서 연설한 모습. /사진=로이터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이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 위험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지난 16일(이하 현지시각) CNBC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이날 미국 시카고 경제클럽이 주최한 행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지금까지 발표한 관세 인상 규모가 예상보다 상당히 크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현재까지 나온 데이터는 1분기 성장률이 전년도 성장세에 비해 둔화된 것으로 보인다"며 "자동차 판매 호조에도 전체적인 소비 지출은 완만하게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사업체들이 잠재적인 관세에 대비하기 위한 시도를 보여주는 1분기 수입 강세는 경제성장에 부담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어 "관세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장기적인 경제적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며 "우리는 두 가지 목표가 상충하는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준은 물가 안정과 완전 고용을 보장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연준을 포함해 경제학자들은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이 이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위협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통상 연준은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높이고 경제 침체를 막기 위해 기준금리를 낮춘다. 하지만 물가상승과 경기침체가 동시에 이뤄지면 금리 정책도 딜레마에 빠진다.

파월 의장은 "만약 그런 일이 발생한다면 경제가 각 목표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각 격차가 좁혀질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은 얼마나 다를지 등을 고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파월 의장은 물가상승률 2% 목표에 대해 "관세는 올해 우리 목표에서 더 멀어지게 할 가능성이 크다"며 "경제 성장이 둔화됨에 따라 실업률은 높아질 가능성이 크고 관세 정책이 시행되면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도 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분간 정책 기조 조정을 고려하기 전 더욱 명확한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