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경기도 경제교육 활성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사기나 금융사기, 불법사금융 피해 이후 경제 교육의 필요성을 느꼈다는 응답은 83.0%에 달했다.
반면 실제 경제 교육을 이수한 경험은 32.1%에 그쳐, 경제 교육에 대한 높은 수요와 실제 참여 사이의 큰 격차를 드러냈다. 이번 조사는 경기연구원이 만 18~69세 경기도민 10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기도 경제교육 및 실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특히 응답자의 91.3%는 급변하는 경제 환경 속에서 경제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해, 디지털 경제 전환과 금융 사기 증가 등 사회적 변화에 따라 경제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경제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응답자의 71.5%가 '실생활에서 중요한 경제적 의사결정(주택매매, 대출 등) 때문'을 꼽았다. 이어 '개인의 경제적 안정과 발전을 위해'(67.9%), '경제 여건과 상황이 계속 변화하고 있어서'(61.3%) 순으로 나타났다. '경제·금융 피해 예방을 위해'(52.1%)도 주요한 이유였다.
경제지식 습득 경로(1+2+3순위 응답 기준)는 '인터넷 포털사이트 등 온라인 매체'(57.4%), 'TV, 라디오 등 방송매체'(53.0%), '유튜브, SNS 등 소셜미디어'(48.7%) 순으로, 디지털 채널을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교육이 필요한 시기로는 경제활동 시기인 '사회 초년생 때'(77%)를 가장 많이 꼽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청소년기(중․고등학생·70.8%), '대학생 시기'(52.9%)의 분포를 보였다. 경제적 독립을 준비하는 생애 초기에 실질적인 경제교육이 집중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나타냈다.
경제 교육이 가장 필요한 계층으로는 '저소득층'(82.6%)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한부모가정'(56.9%), '소상공인'(51.9%), '다문화가정'(38.6%) 순으로 나타나, 경제적 취약 계층에 대한 맞춤형 교육 지원의 중요성을 시사했다.
한미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도에서 모든 경제교육을 직접 수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며 "경기지역경제교육센터 등 외부 기관과 협력을 강화해 보다 효율적인 경제교육 생태계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