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이 지난해 실시한 경기도 경제교육 및 실태조사 결과 - 연령대별 경제 피해 예방을 위한 경제교육 분야(다중선택). /자료제공=경기연구원
경기도민 10명 중 8명은 실제로 전세·금융사기, 불법사금융 피해 이후 경제교육의 필요성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제 경제 교육 이수 경험은 30% 수준에 불과해 교육 참여 기회 확대와 정보 제공 방식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2일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경기도 경제교육 활성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사기나 금융사기, 불법사금융 피해 이후 경제 교육의 필요성을 느꼈다는 응답은 83.0%에 달했다.


반면 실제 경제 교육을 이수한 경험은 32.1%에 그쳐, 경제 교육에 대한 높은 수요와 실제 참여 사이의 큰 격차를 드러냈다. 이번 조사는 경기연구원이 만 18~69세 경기도민 10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기도 경제교육 및 실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특히 응답자의 91.3%는 급변하는 경제 환경 속에서 경제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해, 디지털 경제 전환과 금융 사기 증가 등 사회적 변화에 따라 경제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경제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응답자의 71.5%가 '실생활에서 중요한 경제적 의사결정(주택매매, 대출 등) 때문'을 꼽았다. 이어 '개인의 경제적 안정과 발전을 위해'(67.9%), '경제 여건과 상황이 계속 변화하고 있어서'(61.3%) 순으로 나타났다. '경제·금융 피해 예방을 위해'(52.1%)도 주요한 이유였다.


경제지식 습득 경로(1+2+3순위 응답 기준)는 '인터넷 포털사이트 등 온라인 매체'(57.4%), 'TV, 라디오 등 방송매체'(53.0%), '유튜브, SNS 등 소셜미디어'(48.7%) 순으로, 디지털 채널을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교육이 필요한 시기로는 경제활동 시기인 '사회 초년생 때'(77%)를 가장 많이 꼽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청소년기(중․고등학생·70.8%), '대학생 시기'(52.9%)의 분포를 보였다. 경제적 독립을 준비하는 생애 초기에 실질적인 경제교육이 집중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나타냈다.

경제 교육이 가장 필요한 계층으로는 '저소득층'(82.6%)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한부모가정'(56.9%), '소상공인'(51.9%), '다문화가정'(38.6%) 순으로 나타나, 경제적 취약 계층에 대한 맞춤형 교육 지원의 중요성을 시사했다.

한미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도에서 모든 경제교육을 직접 수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며 "경기지역경제교육센터 등 외부 기관과 협력을 강화해 보다 효율적인 경제교육 생태계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