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KB금융그룹
KB금융그룹이 4000억원 규모의 주주환원 정책을 선제적으로 실시한다.

올해 1분기 약 1조600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어닝서프라이즈를 달성했으나 견조한 실적 대비 주주환원이 부족하다는 주주들의 지적에 주주환원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KB금융은 하반기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을 앞당겨 주주환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KB금융은 24일 오후 진행된 1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4000억원 규모의 주주환원 정책을 선제적으로 실시한다고 밝혔다.

나상록 KB금융 재무담당(CFO)은 "지난해 말부터 국내외 정치 경제적 불확실성으로 시장의 변동성이 그 어느 때보다 크게 확대된 상황"이라며 "전례 없는 환경하에 시장 안정을 도모하고 밸류업 프로그램의 유연한 운영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KB금융 이사회는 이날 주당 912원의 분기 배당을 결의했다. 현금 배당은 전 분기 대비 108원 증가했다. 연간 배당액이 1조2400억원에서 1조3400억원으로 1000억원가량 늘었다. KB금융은 3000억원의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도 발표했다. KB금융은 하반기에도 보통주 자본(CET1) 비율 13.5%를 초과하는 자본에 대해서는 주주환원의 재원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KB금융은 지난 2월 2024년 실적을 발표하면서 주주환원 정책이 밝혔으나 시장 기대에 못 미치면서 주가가 하락했다. 나 CFO는 주주환원 정책의 선제적 시행에 대해 "당사의 이익 대비 다소 낮은 배당 성향을 개선하고자 했다"며 "하반기 예정된 주주환원 금액 일부를 선제적으로 시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콘퍼런스콜에서는 최근 경기 침체 우려에 따른 정부의 기업 대출 확대 요구가 CET1 비율의 훼손으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됐다.

나 CFO는 "최근의 정부 정책이나 저희 내부 방침은 무분별한 여신 신용 공급이 아니다"라며 "컨설팅을 결부해 상환 역량을 개선해 가면서 지원하고 분할상환 기간을 조금 더 연장하면서 경착륙보다는 연착륙되는 방향으로 지금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KB금융은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1조697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1조42억원) 대비 6931억원(62.9%) 급증한 실적이다. KB국민은행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264억원, KB증권 1799억원, KB손해보험 3135억원, KB국민카드 845억원, KB라이프 870억원 등 실적을 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