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뉴스1에 따르면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비화폰 서버 자료를 (경호처가) 최대한 협조해 주기로 한 것은 맞다"며 "실제 자료를 어떻게 줄지는 알 수 없어서 계속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경호처로부터 비화폰 서버를 어떤 방식으로 제출받을지 실무 협의 중이다. 서버를 그대로 넘겨받는 방식과 서버 내 증거물을 복제해 파일로 생성하는 포렌식(이미징) 방식 등을 검토 중이다.
경찰은 지난 16일 오전 10시쯤 비화폰 서버, 대통령실 및 경호처 사무실, 경호처장 공관 등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압수수색을 놓고 벌어진 6번째 경찰과 경호처의 대치였다. 다만 경호처는 불승낙 사유서를 제출했다.
당시 경호처는 "임의제출 방식으로 자료를 제출하기로 합의했다"면서도 "경찰 측 요청 자료가 방대해 구체적인 제출 방식과 비화폰 등 일부 자료에 대해서는 양 기관이 추가 협의를 통해 진행하기로 했다"고 입장을 밝혔다.
비화폰 서버는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입증할 핵심 증거로 꼽힌다. 12·3 비상계엄 당시 윤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부터 민간인 신분이었던 노상원 전 정보 사령관까지 경호처가 제공한 비화폰을 통해 소통했다.
특히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월3일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 등에게 여러 차례 비화폰으로 연락해 고위공직자 범죄수사처와 경찰의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하도록 했다는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도 받고 있다. 김 차장은 2차 체포영장 집행 직전 비화폰 서버 관리자에게 통신내역 삭제를 지시한 혐의를 받는다.
경찰이 비화폰 서버 등 핵심 증거를 확보하게 되면서 윤 전 대통령 수사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