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생명이 지주사 전환의 일환으로 SBI저축은행을 인수한다. 사진은 교보생명 광화문 사옥./사진=교보생명
교보생명이 이달 28일 이사회를 열고 SBI저축은행 지분 50%+1주를 오는 2026년 10월까지 단계적으로 인수하기로 결의했다.

이날 이사회를 통해 교보생명은 SBI저축은행 최대주주인 SBI홀딩스로부터 SBI저축은행 지분을 매입한다고 밝혔다. 인수금액은 약 9000억원이다.


2024년 말 기준으로 SBI저축은행 총자산은 14조289억원, 자본총계는 1조8995억원, 거래 고객은 172만명을 보유한 업계 1위 저축은행이다.

SBI저축은행의 순이익은 2021년 3495억원, 2022년 3284억원을 기록했다.

2023년과 2024년엔 각각 891억원, 808억원의 순이익을 달성했다.


SBI저축은행의 최대주주는 일본 종합투자금융그룹 SBI홀딩스로, 현재 자사주 14.77%를 제외한 85.2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교보생명은 단계적으로 지분을 취득할 예정이다.

우선 금융당국의 대주주 승인을 받은 다음 하반기 중으로 30%(의결권 없는 자사주를 감안한 실제 의결권 지분 35.2%)의 지분을 취득할 예정이다.

이후 금융지주사 전환 맞춰 2026년 10월말까지 50%+1주(의결권 58.7%)를 인수할 방침이다.

교보생명은 기존 보험 사업과 저축은행 간의 시너지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특히 보험 계약자들에게 저축은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저축은행 고객들에게는 보험 상품을 연계해 편의를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디지털 금융 시장에서도 고객 접점이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현재 교보생명앱(230만 명)과 SBI저축은행 사이다뱅크앱(140만명)를 합쳐 총 370만명의 금융 고객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양사의 강점을 결합해 대고객 서비스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SBI저축은행 계좌를 보험금 지급 계좌로 활용하고, 보험사에서 대출이 거절된 고객을 저축은행으로 유입시킬 계획이다.

이에 따라 가계여신 규모를 1조6000억원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SBI저축은행의 예금을 교보생명의 퇴직연금 운용 상품으로 활용하는 등 금융 시너지를 극대화 한다는 방침이다.

교보생명과 SBI그룹은 2007년부터 전략적 협력 관계를 이어오며 과거 우리금융 인수 추진, 제3인터넷은행 설립 논의, 디지털 금융 협력 등 주요 사업에서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지난해 7월에는 토큰증권 발행 등 디지털 금융 분야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며 협력 범위를 확대했다.

지난달 SBI홀딩스는 사모펀드 어피니티가 보유한 교보생명 지분 9.05%를 인수했다.

최근 교보생명의 재무적투자자(FI)들이 보유한 지분을 추가로 인수해 보유 지분율을 20%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이번 거래를 통해 양사는 단순한 금융투자 관계를 넘어 미래 금융시장 변화에 공동 대응하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더욱 공고히 할 방침이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풋옵션 분쟁이 사실상 일단락되면서 금융지주 전환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저축은행업 진출은 지주사 전환 추진과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차원이며 향후 손해보험사 인수 등 비보험 금융사업 영역 확대에도 적극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SBI그룹 관계자는 "교보생명과의 오랜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금융 분야에서 전략적 협력관계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