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환 금융위원장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월례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달 중 3단계 스트레스 DSR 도입과 관련한 세부방안을 발표한다고 밝혔다. 스트레스 DSR은 미래 금리 변동 위험을 반영, 대출 금리에 가산 금리(스트레스 금리)를 부과해 대출한도를 산출하는 제도다.
김 위원장은 "여러 정치적 일정들이 있지만 시기적으로 불가피하게 이달 중 스트레스 DSR 관련 입장을 내놔야 한다"며 "3단계 스트레스 DSR 도입하는 게 7월1일로 예정됐고 가계대출 부분의 정책의 일관성은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기존 발표처럼 시행방안을 이달 중 내놓겠다"고 했다. 이어 그는 "세부적인 것은 조율을 해야 할 상황이나 기본적으로는 지방과 수도권은 조금 차이를 두고 진행하겠단 관점을 갖고 금리 수준 등을 조율 중"이라고 부연했다.
금융당국은 오는 9일 예금자 보호한도를 상향할 방침이다. 당국은 이 한도를 기존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2배 높이는 예금자보호법 시행시기를 정해야 한다.
김 위원장은 "오는 9월1일 시행을 목표로 관계기관과 협의 중"이라고 했다. 그는 "몇 차례에 걸친 관계기관 태스크포스(TF)에서 논의한 결과 시기에 관련해서는 연말 연초는 자금 이동이 일어날 수 있는 기간이기 때문에 피해야겠다는 공감대가 형성됐고, 금융회사들이 내부적으로 준비해야 할 시간도 소요되기 때문에 그 점을 감안했다"고 말했다.
매각이 무산된 MG손해보험 처리에도 속도를 낸다. 그는 "보험계약자 보호나 금융시장 안정, 여러 대안의 실현 가능성 등을 두루 검토해 조율되면 이번 달에라도 처리방안을 내놓을 생각"이라며 "시기적으로 융통성 있는 부분은 상황을 봐가며 5~6월 중 내놓겠다"고 했다.
이날 김 위원장은 오는 6월 대선을 앞두고 정책 공백 방지와 시장 안정화 기조를 재확인했다. 그는 "최근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사퇴하는 등 여러 변화가 있었지만, 대선까지 남은 기간 금융정책 차원에서 해야 할 일들을 잘 관리해 나갈 것"이라며 "가장 중요한 것은 시장 안정이다.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F4)를 중심으로 매일 시장을 점검하겠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