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손해보험노조 소속 조합원들이 지난달 17일 서울 중구 예금보험공사 앞에서 열린 MG손해보험 정상매각 촉구 입장 발표 기자회견에서 생존권 사수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뉴스1 오대일 기자
MG손해보험 노동조합이 금융당국의 일부 영업정지와 가교보험사 설립 검토에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MG손보 노조는 이달 13일 서울 정부종합청사 금융위원회 정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 선거 시기에 불필요한 결정을 해 금융시장과 노동자,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지 말고 지금 당장 검토를 멈추길 요구한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이르면 오는 14일 정례회의에서 MG손보 관련 일부 영업정지 및 가교 보험사 설립 안건을 의결할 전망이다.

MG손보 노조는 "보험사는 신계약 영업의 활발한 체결로 계약을 선순환하며 유지·운영·발전하는 구조"라며 "영업정지는 보험사에 사형선고와 동시에 사형집행을 단행하는 극악 처사이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금융위가 가장 쉬운 방법으로 본인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부 영업정지 조치를 진행하면 MG손보 500여 명의 노동자는 금융위의 모든 결정에 어떤 협의와 협조를 하지 않고 결사 항전에 돌입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가교금융기관은 부실금융기관을 정리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되는 임시 금융기관으로 기존 금융기관의 자산과 부채 등을 이전받게 된다. 과거 저축은행 사태 당시 금융당국은 가교저축은행을 설립하는 방식으로 부실 금융사를 해결한 전례가 있다. 하지만 가교보험사 설립은 이번이 처음이다.

금융위가 인가하면 예금보험공사는 가교보험사를 설립한 뒤 예보기금자금지원을 통해 경영정상화에 나선다.

이에 따라 기존 MG손보는 사실상 파산 절차를 밟게 되고, MG손보 직원의 대대적인 구조조정도 예상된다. 특히 가교보험사가 최소 인력으로 계약을 관리하는 조직인 만큼 기존 영업조직 등 본사 인력의 상당 부분이 정리 대상이 될 전망이다.

MG손보 노조는 "MG손보를 정상 매각해 노동자와 영업 가족, 125만 가입 고객을 모두 보호할 수 있는 올바른 길을 찾아 올바른 선택을 해 달라고 요구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