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 개입 의혹을 받는 김건희 여사가 검찰 대면조사 요구에 불응하며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사진은 13일 서울 서초구 중앙지방검찰청의 모습. /사진=뉴스1
공천 개입 의혹을 받는 김건희 여사가 오는 14일까지 출석해 피의자 조사를 받으라는 검찰 요구에 대해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13일 뉴스1에 따르면 이날 김 여사 측은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에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김 여사 측은 조기 대선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고 조사 강행 시 추측성 보도가 양산될 우려가 있어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한다고 밝혔다.


김 여사 측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의 선거법 위반 혐의 파기환송과 각종 재판이 모두 대선 뒤로 연기된 점, 문재인 전 대통령 뇌물 혐의를 수사한 검찰이 대면 조사 없이 기소한 것 등을 불출석 사유로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공직선거법 및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를 받는 김 여사 측에 오는 14일까지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해 조사받을 것을 명시한 출석요구서를 전달했다. 검찰은 지난 2월부터 김 여사 측에 대면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했지만 별다른 응답이 없자 공식적인 출석 요구 절차를 진행했다.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가 2022년 지방선거와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지난해 국회의원 선거 공천에 개입했다는 의혹에 대해 수사 중이다.


김 여사는 2022년 대통령 선거 당시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로부터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받고 그 대가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을 2022년 6월1일 국회의원 보궐선거 경남 창원 의창에 공천받도록 한 혐의를 받는다. 김 여사는 보궐선거와 함께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포항시장과 평택시장 등 후보 공천에 개입한 혐의도 받는다. 또 지난해 총선에선 김상민 전 검사를 창원 의창에 출마시키려고 공천에 개입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검찰은 지난해 2월18일부터 3월1일까지 김 여사와 김 전 의원의 통화 총 11회, 문자 내역, 명씨와 김 여사가 주고받은 텔레그램 연락 내용도 확보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김 여사가 소환에 불응하면 추가 소환 통보를 검토할 예정이다. 통상 수사기관은 세 차례 정도 소환 통보에 불응할 경우 체포영장 청구 등 강제구인 절차를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