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가 지난 일 임은정 대전지검 부장검사를 서울동부지검장으로 발탁했다.사진은 2024년 7월2일 임은정 대전지방검찰청 부장검사가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김영철 서울북부지검 차장검사 '탄핵소추사건 조사'와 관련한 청문회에 참석한 모습. /사진=뉴스1
이재명 정부가 검찰 간부 인사를 전격 단행한 가운데 임은정 대전지검 부장검사가 서울동부지검장으로 승진했다.

2일 뉴시스에 따르면 법무부는 지난 1일 대검검사급 검사 3명에 대한 신규 보임 및 대검검사급 검사 4명, 고검검사급 검사 2명에 대한 전보 인사를 오는 4일 자로 시행했다.


임 검사장은 1974년생 경북 포항 출신으로 부산 남성여고와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 2001년 사법연수원을 30기로 수료한 뒤 인천지방검찰청 검사로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이른바 '도가니 사건'으로 알려진 광주인화학교 청각장애인 성폭력 사건 1심 공판검사를 맡아 세간의 관심을 받았다.

이후 검찰총장 표창장을 받고 검사 인사에서 '우수 여성 검사'로 선정되기도 했으나 2012년 9월 '민청학련 사건' 재판에서 15년형을 선고받았던 박형규 목사의 재심 공판에서 '백지구형을 하라'는 검찰 상부의 지시와는 달리 무죄를 구형해 내부 갈등을 빚었다.

임 검사장은 2012년 12월 반공법 위반죄로 1962년 징역 15년을 선고받았던 윤길중 전 진보당 간사장에 대한 재심공판에서 검찰 상부 지시와는 달리 임의로 무죄를 구형했고 법무부는 다음해 정직 4개월의 징계를 내렸다. 2017년 대법원은 법무부가 임 검사장의 징계를 취소해야 한다는 판결을 확정했다.


이후 그는 검찰 내부를 저격하며 '검찰개혁'에 앞장서는 행보를 보였다. 2022년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한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이 검찰 내부에서 반발이 이어지자 "검찰이 재소자들의 인권을 침해하여 진술을 조작했고 법정을 연극 무대로 삼아 사법 정의를 조롱했다"며 "검찰이 검찰의 조직적 범죄를 거듭 은폐했다"고 지적했다.

임 검사장은 2021년 검찰총장이었던 윤 전 대통령의 '한명숙 모해위증교사 수사 방해 의혹'에 대해 폭로하기도 했다. 임 검사장은 이재명 대통령 당선 이후 지난달 16일 국정기획위원회에 합류해 검찰개혁 과제를 담당해 '수사-기소권 분리'를 논의했다. 그는 최근 대통령실이 진행하는 국민추천제에서 법무부 장관, 차관, 검찰총장 후보로 각각 추천을 받기도 했다.

▲경북 포항(1974년) ▲부산 남성여고 ▲고려대 법학과 ▲제40회 사법시험(사법연수원 30기) ▲인천지검 ▲대구지검 경주지청 ▲부산지검 ▲광주지검 ▲법무부 법무심의관실 ▲서울중앙지검 ▲창원지검 ▲의정부지검 ▲서울북부지검 부부장검사 ▲청주지검 충주지청 부장검사 ▲울산지검 중요경제범죄조사단 부장검사 ▲대검 감찰정책연구관 ▲법무부 감찰담당관 ▲대구지검 중요경제범죄조사단 부장검사 ▲대전지검 중요경제범죄조사단 부장검사 ▲국정기획위 정치행정분과 전문위원 ▲서울동부지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