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하반기 투자계획 조사'(120개사 응답)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78.4%는 올해 하반기에 상반기와 비슷한 규모의 투자를 계획 중이었다.
상반기 대비 투자 규모를 축소하겠다는 응답은 13.3%, 확대하겠다는 응답은 8.3%였다.
하반기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응답한 기업들은 ▲신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 변화 기대(20.0%)와 ▲노후화된 기존 설비 교체․개선(20.0%)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으며 ▲업사이클 진입 또는 업황 개선 기대(16.7%)가 뒤를 이었다.
투자를 축소할 계획이라고 응답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미국 트럼프 2기 정책 발 불확실성 확대(33.3%) ▲내수시장 침체 지속(25.0%) ▲고환율 등 외환 및 원자재가 상승 리스크(14.6%) 등을 지목했다.
한경협 관계자는 "수출 불확실성 확대와 내수 부진 장기화로 최근 기업들이 신규 투자에 신중한 태도를 보여왔지만 하반기에는 새 정부의 경기 부양책과 업황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있어 상반기와 비슷한 규모의 투자를 집행하는 기업들이 다수인 것"이라고 풀이했다.
기업들은 하반기 투자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장 큰 리스크로 ▲미·중 등 주요국의 경기 둔화(26.4%)를 꼽았다. 그 외 ▲글로벌 공급망 불안 심화(23.6%) ▲에너지·원자재 가격 상승(15.0%) ▲금융·자본시장 위축(14.2%) 등도 주요 위험 요인으로 지목됐다.
국내 투자에 대한 애로 요인으로는 ▲노동시장 규제 및 경직성(18.6%) ▲세금 및 각종 부담금 부담(18.1%) ▲입지, 인·허가 등 투자 관련 규제(16.9%) ▲전력 등 에너지 비용 부담(14.2%) 등을 꼽았다.
기업들은 국내 투자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로 ▲세제지원·보조금 확대(27.5%) ▲내수경기 활성화(15.3%) ▲신산업 진입 규제 및 투자 관련 규제 완화(11.9%)를 원하고 있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우리 경제가 직면한 저성장을 타개하려면, 기업들의 적극적·모험적 투자를 토대로 한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이 필요하다"며 "AI·바이오·컬처 등 미래산업에 대한 세제·금융지원을 강화하고 규제 시스템을 네거티브로 과감하게 전환해 새로운 산업 분야에 대한 기업들의 투자 유인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