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록 전라남도지사(왼쪽 여덟번째)가 2일 나주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에서 열린 '한국가속기 및 플라즈마 연구협회·한국물리학회 플라즈마 분과 정기 학술대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전남도
전라남도가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2일 나주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에서 열린 '2025 한국가속기 및 플라즈마연구협회(KAPRA)·한국물리학회 플라즈마 분과 정기 학술대회'에 참석해 전남의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 의지를 강력히 밝혔다.


학술대회는 국내 핵융합·플라즈마 분야 핵심 연구자 200여 명이 참여해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핵융합 기술과 플라즈마 응용 분야의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됐다.

정부는 '제4차 핵융합 에너지 진흥계획(2022~2026)'과 지난해 수립한 '핵융합 에너지 실현 가속화 전략'을 바탕으로 약 1조2000억원 규모의 핵융합 기술개발과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다.

전남도와 나주시는 빛가람 혁신도시 인근의 안정적 지반과 확장가능한 넓은 부지, 쾌적한 정주 여건, KTX와 고속도로를 통한 우수한 교통망 등 입지 여건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국내 유일의 에너지 특화대학인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를 중심으로 연구·교육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는 점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2020년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2023년 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 유치 과정에서 이미 부지의 적합성, 확장 가능성, 기반시설 경쟁력 등을 충분히 입증했다며 연구시설 유치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전남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초전도도체 시험설비 구축 사업(498억 원 규모)'을 유치해 켄텍에 시험 인프라를 구축 중이며, 2028년 준공을 목표로 차질 없이 진행 중이다.

김영록 지사는 축사를 통해 "전남은 재생에너지 자원이 풍부하고 연구 인프라도 갖추고 있어서 인공태양 연구시설의 최적지"라며 "이미 초전도도체 시험설비 유치 등 실질적 기반을 갖춘 만큼 국가 핵심기술인 인공태양 산업이 나주를 중심으로 성장하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