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3일 빈집관리 종합계획을 발표했다./사진=경남도청
경상남도가 도내 급증하는 빈집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경상남도 빈집관리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본격적인 이행에 들어갔다.

3일 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경남의 빈집은 총 1만5796호로 전국 세 번째 규모다. 이에 도는 광역 단위 통합관리체계를 골자로 한 중장기 전략을 마련해 도시와 농어촌을 아우르는 체계적 관리를 추진한다.


이번 계획은 △통합적 관리체계 구축 △정비와 안전확보 △활용사업 확대 △민간참여 기반 조성 등 4대 전략과 14개 세부 과제로 구성된다. 특히 '빈집애(愛) 플랫폼'을 통해 빈집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경상남도 빈집정책협의회'를 운영해 부서 간 연계를 강화한다.

정비 분야에서는 농촌 철거지원 외에도 구조적 위험이 큰 도시 빈집을 포함해 안전조치를 확대한다.

활용 측면에서는 '그린 홈 어게인' 사업을 통해 빈집을 청년주거, 마을창업센터 등으로 리모델링하는 시범사업을 내년부터 추진한다. 특히 남해군은 농식품부의 2025년 공모사업에 전국 최초로 선정돼 빈집을 워케이션 공간으로 재탄생시킬 예정이다.


민간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중개수수료 지원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빈집애' 플랫폼에 매물을 공개해 거래 활성화를 꾀한다.

경남도는 이번 종합계획을 통해 '방치에서 활용으로'라는 전환적 비전을 실현하고, 빈집을 지역의 새로운 자산으로 만들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