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전국언론노동조합 YTN 지부는 전날 유진그룹 최대주주 자격 취소 등의 내용을 담은 'YTN 정상화를 위한 의견서'를 대통령실에 전달했다. 최근 국정기획위원들과의 면담을 통해 유진그룹의 최대주주 자격을 박탈해야 한다고도 촉구했다. YTN 지부는 그동안 유진그룹의 인수와 운영과정이 적합하지 않은데다 언론의 자유와 독립성을 해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날까지 3차 파업을 진행하고 있다.
YTN을 둘러싼 잡음은 유진그룹이 인수에 나서면서부터 시작됐다. 레미콘을 핵심 사업으로 하는 유진그룹은 계속되는 업계 불황 속에도 미디어 산업 진출을 공언하며 인수를 강행했다. 특수목적법인 유진이엔티가 2023년 10월 3199억원 들여 YTN 지분을 인수했을 때도 회사는 높은 차입금 등으로 재무 위기에 놓여 있었다. 유진이엔티 최대주주(51%)인 유진기업의 총차입금은 같은 해 8944억원이었고, 이후 계속 증가해 올해 1분기 1조34억원을 기록했다.
지분 인수 시 정황들이 알려지면서 논란은 가중됐다. 정부가 공기업의 YTN 지분매각을 부추겼다는 지적이 나오면서다. YTN 민영화는 기획재정부가 2022년 11월 한국전력공사의 100% 자회사 한전KDN과 한국마사회 등 공기업이 보유한 YTN 지분 30.95%를 모두 매각하는 내용의 '공공기관 자산 효율화 계획' 승인하면서 속도가 붙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매각 권고'를 내리자마자 두 공기업은 이사회를 열고 지분매각 안건을 의결했다. 해당 지분은 유진그룹 품에 안겼다.
방통위가 지난해 2월 유진이엔티의 최대주주 변경안을 승인하는 과정도 논란이다. 방통위 상임위원회 의결은 5인 체제에서 과반수 의결을 진행하는 게 원칙인데, 당시 2인 체제에서 승인이 이뤄져 '졸속 심사'라는 것이다. 전날부터 진행 중인 YTN 현장 실사가 방통위원장 1인 체제에서 이뤄져 잡음이 이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인수 주체인 유진그룹의 유경선 회장의 과거 전력도 주목받는다. 유 회장은 2008년 유진그룹 내사를 무마하는 대가로 검사에게 5억4000만원의 뇌물을 공여한 혐의로 대법원에서 징역 1년6개월, 집행유예 2년형을 받았다.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새 정부 출범으로 유진그룹의 YTN 인수에 대한 재논의 가능성이 제기된다. 방통위 5인 체제에서 위원장만 남아있는데 위원장이 바뀌면 위원회 체제가 재정비돼 최대주주 자격 재검토 국면에 접어들 수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