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6월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대출 금리는 전월 대비 0.08%포인트 하락한 4.09%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4.64%) 이후 7개월 연속 하락이다.
가계대출 금리는 0.05%포인트 떨어진 4.21%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4.72%) 이후 7개월 연속 하락이다. 이 가운데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0.18%포인트 하락한 5.03%를 보였다. 7개월째 하락이다.
반면 주담대와 전세대출을 올랐다. 주담대 금리는 3.93%로 0.06%포인트 상승해 5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전세자금대출 금리는 0.01%포인트 오른 3.71%를 보였다. 지난해 12월(4.34%) 이후 7개월 만에 상승 전환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동결을 이어가는 가운데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달 만장일치로 금리를 동결했다. 시장의 금리인하 기대감이 줄어들면서 시장금리는 소폭 상승했다. 6월 은행채 5년물(+0.11%포인트) 및 2년물(+0.06%포인트) 금리 상승에 주담대와 전세자금 대출 금리가 올랐다. 반면 단기 지표금리(은행채 단기물 및 코픽스) 하락 등의 영향으로 일반신용대출은 하락했다.
기업대출금리는 0.1%포인트 하락해 4.06%로 내려갔다. 단기 시장금리(CD 91일, 은행채 단기물 등)가 하락한 영향 등으로 대기업(-0.15%포인트)과 중소기업(-0.06%포인트)은 하락했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6월 주담대 금리 상승은 지표 금리인 은행채 5년 물 등이 오른 영향이 컸다"면서 "기준금리 인하를 몇 번, 언제 할 것이냐는 부분에 대한 조정이 장기 금리에 선반영된 데 기인한다"고 말했다.
신규 취급 기준 예대금리차(대출 금리-수신금리)는 1.54%포인트로 5월과 같았다. 2015년 1월부터 지난해 12월 평균치(1.69%포인트)보다 낮은 수준이다. 예대금리차는 지난해 9월(1.22%포인트) 이후 7개월 연속 확대되다가 지난 4월 축소됐다.
잔액 기준 예대금리차는 2.20%포인트로 5월(2.19%)보다 0.01%포인트 올랐다. 2021년 11월(2.19%포인트)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