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이 31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김윤덕 신임 국토교통부 장관은 주거 안정을 위한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한 공급정책과 지역 균형발전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3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식을 열고 "새 정부에 대한 국민의 민생 안정과 경제활력 회복 기대가 어느 때보다 크다"며 "국토부는 국민 일상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혁신적 정책을 직접 실행해 모두가 잘 사는 사회의 디딤돌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부동산 시장은 일시적으로 안정세를 보이지만 여전히 불확실성이 크다"며 "도심 유휴부지·노후 공공시설 복합개발, 3기 신도시 조기 추진, 공공성 강화된 정비사업 활성화로 양질의 주택을 신뢰 속에 공급하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주거정책 대전환 ▲균형발전과 지역 상생 ▲공정한 교통망 확충 ▲안전 시스템 전면 혁신 ▲미래 성장동력 확보 등 5대 핵심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신뢰받는 공급 시스템 구축을 주거정책 전환의 핵심으로 짚었다. 김 장관은 "LH(한국토지주택공사) 구조 개혁으로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공적 기능을 확대해야 한다"며 "청년·신혼·고령자 맞춤형 주거 지원을 설계해 '주거 사다리' 회복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균형발전 전략으로 김 장관은 ▲5극3특 생활권 육성 ▲세종·새만금 등 권역별 중심축 강화 ▲2차 공공기관 이전의 조속한 추진을 강조했다.

김 장관은 "공공기관 2차 이전은 이미 늦은 감이 있으므로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며 "주택시장 양극화 해소도 지방 균형발전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안전 정책은 사전 예방 중심으로 전환한다. 김 장관은 "기후재난, 싱크홀 등 새로운 유형의 사고에 대비할 수 있도록 인력·제도 전반을 정비하겠다"며 "택배·운송·건설 등 현장 근로자가 안심하고 일하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제도적 보호장치를 강화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과감한 규제 혁신과 범정부 차원의 협력을 통해 자율주행·UAM(도심항공교통)·AI 산업단지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충해야 한다"고 했다.

조직 문화 혁신도 주문했다. 김 장관은 "실무자와 간부가 소통하고 책임과 권한을 나누는 수평적이고 실용적인 공직문화를 함께 만들겠다"고 취임사를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