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은 44.4%로 6월(46.5%) 대비 2.1%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하락 거래 비중은 38.4%에서 41.8%로 3.4%포인트 늘었다.
수도권에서 하락 거래가 두드러졌다.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의 상승 거래 비중은 45.0%로 6월(48.1%) 대비 3.1%포인트 줄었다. 하락 거래 비중은 35.1%에서 39.2%로 4.1%포인트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의 상승 거래 비중은 53.2%에서 51.1%로 감소했다. 하락 거래 비중은 30.4%에서 34.0%로 3.6%포인트 증가했다. 경기 역시 상승 거래는 46.0%에서 43.2%로 줄어든 반면 하락 거래는 37.1%에서 40.6%로 늘었다.
지방은 전반적으로 유지 흐름을 보였다. 지방 아파트의 상승 거래 비중은 44.0%, 하락 거래 비중은 43.5%로 조사됐다. 전월 대비 각각 -0.2%포인트, +0.4%포인트 변동에 그쳤다.
다만 세종은 지방 중에서도 하락 폭이 컸다. 7월 세종시의 상승 거래 비중은 41.7%로 6월(48.9%) 대비 7.2%포인트 감소했고, 하락 거래 비중은 같은 기간 35.4%에서 45.2%로 9.9%포인트 증가했다. 행정수도 이전 등 개발 계획이 가시화되지 않아 매수세가 다소 진정됐다.
수도권과 지방 간 거래 흐름의 차이는 6·27 부동산 대책의 영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대출 규제를 강화한 이번 대책은 수도권과 규제지역에 집중 적용된 바 있다.
직방 관계자는 "수도권 중심의 거래 위축이 지속될 경우 매매가격 하향 흐름은 더욱 뚜렷해질 수 있다"며 "투자 수요뿐 아니라 실수요자의 매수 부담도 커져 관망세로 전환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