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김건희 특검에 따르면 이봉관 서희건설 회장은 2022년 3월 최모 비서실장을 통해 반클리프 목걸이를 구입해 김건희 여사에게 전달했다는 취지의 자수서를 제출했다. 자수서에는 이 회장 비서실장의 모친 명의로 백화점에서 해당 목걸이를 구매했으며 상품권으로 결제했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김 여사는 2023년 6월 나토(NATO) 순방 당시 해당 목걸이를 착용했다. 특검은 나토 순방 전 이 회장의 맏사위인 박성근 전 검사가 국무총리실 비서실장으로 임명된 점을 주목하며 해당 목걸이가 청탁성 선물인지 여부를 수사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서희건설 개발 부문 송모 부사장이 지역주택조합 사업과 관련해 14억원 규모의 횡령·배임 혐의로 구속기소됐다. 송 부사장은 경기 용인시 보평역 서희스타힐스 아파트 지주택 사업 관련 전직 조합장에게 13억7500만원의 뒷돈을 건네고, 그 대가로 물가상승분 1.7배에 달하는 385억원의 공사비 증액을 관철한 혐의를 받고 있다.
한국거래소는 전날 오후 3시5분 '현직 임원의 횡령·배임 혐의설 풍문 또는 보도 관련' 조회 공시 사유로 서희건설 주식의 거래를 정지했다. 거래소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라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또한 거래소는 심의요청을 접수한 날(11일)로부터 15일(영업일 기준) 이내인 다음달 2일까지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특히 서희건설이 지난 9~10일 주말 동안 본사를 폐쇄하고 이 회장의 물품과 PC 등을 미리 치우는 등 증거 인멸 시도를 한 정황이 포착되면서 파장은 더욱 커지고 있다.
서희건설의 위기는 지역주택조합 사업의 구조적 문제와도 직결된다. 지역주택조합은 무주택 세대주가 자발적으로 조합을 결성해 토지를 공동 매입하고 시공사를 선정·시행하는 대안적 주택공급 방식이다.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국의 지역주택조합 사업장은 618개소, 약 36만 세대 규모로 조합원 수가 26만명에 달한다.
일반분양에 비해 분양가가 낮지만 토지 확보 지연이나 공사비 증액으로 인한 추가 비용 부담, 시공사와의 갈등으로 인해 민원이 많은 방식이기도 하다. 국토부는 지역주택조합 사업장 실태조사를 통해 187개 조합에서 분쟁 사례가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서희건설은 지역주택조합 사업을 통해 2020년 시공능력평가 33위에서 올해 16위권으로 급성장했다. 지난 3월 기준 서희건설의 지주택 사업 누적 수주액은 무려 1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6월 광주 타운홀 미팅에서 공개적으로 '서희건설'을 지목하며 지역주택조합 사업의 실태 점검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
국토교통부가 이달 말까지 진행하는 지역주택조합 특별점검에서도 서희건설과 관련된 추가 문제점들이 드러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정치적 스캔들과 사업 비리가 동시에 터진 서희건설이 당분간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지역주택조합 사업에 대한 정부의 특별점검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추가적인 문제가 발견될 경우 회사 경영에 더욱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