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성수1지구 조합은 지난 4일 오후 3시 대의원회를 열어 입찰 지침 완화 여부를 논의한 끝에 부결을 결정했다. 이번 안건은 경쟁입찰을 희망하는 일부 조합원의 요구로 상정됐다.
조합이 내놓은 지침에는 ▲조합원 분양가 할인 금지 ▲조합원 로열층 우선 배정 금지 ▲금융 조건 제한 ▲천재지변과 전쟁 등을 제외한 책임준공 확약 등이 포함됐다. 입찰 건설업체가 조합원에게 특혜를 제공해 과열 경쟁을 부추기는 관행을 차단하는 것이 목적이다.
시공사들은 분양가 할인 금지와 금융 조건 제한 등 기준은 수익성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브랜드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고 책임준공 조항마저 불리하게 작용할 것을 우려해 입찰이 쉽지 않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에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은 지난달 29일 열린 현장설명회에 불참해 입찰 불참의 의사를 밝혔다.
대의원회 표결 결과 123명 중 115명이 투표에 참여했고 71명이 반대해 입찰 지침 완화안은 부결됐다. 조합 집행부가 제시한 원칙이 최종 관철된 셈이다.
━
현대건설·HDC현대산업개발 "경쟁입찰 취지 훼손"━
업계에서는 성수전략정비구역이 강남 재건축 못지않은 초대형 사업임에도 경쟁 구도가 축소된 데 아쉽다는 반응이다. 특히 GS건설은 성수1지구 수주를 위해 오랜 기간 공을 들여왔기 때문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했다는 평가다.현대건설 관계자는 "조합 혜택 제안 금지는 일반경쟁입찰의 본질을 훼손하는 것"이라며 "시공사가 제안할 수 있는 경쟁력과 시공 능력을 제약한다"고 지적했다. HDC현대산업개발 관계자도 "입찰 지침 유지에 유감을 표한다"며 "향후 대응 방향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결정으로 조합 내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일부 조합원은 집행부를 규탄하며 경쟁입찰을 촉구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경쟁입찰을 원했던 조합 내 일부 세력과 집행부 간 갈등으로 사업 지연이 불가피할 수 있다"며 "조합원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줄어들게 하는 결과도 가져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성수1지구는 지하 4층~최고 69층, 17개 동, 총 3014가구 아파트로 탈바꿈하는 대형 정비사업이다. 총공사비 2조1540억원에 달한다. 한강변 핵심 입지라는 점에서 재개발 대어로 꼽힌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