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UDC 2025에서 오프닝 스피치를 하고 있다. /사진=두나무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 '두나무'가 세계 시장을 공략하겠다고 천명했다. 자사가 운영 중인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코인 시장에서 성과를 내겠다는 각오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9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블록체인 행사 '업비트 D 컨퍼런스(Upbit D Conference·UDC)' 기조연설에서 글로벌 진출을 공식화했다.


오 대표는 "인터넷 혁명과 인공지능 혁명에서는 글로벌 빅테크의 공세에 수세적으로 대응해왔다면 신뢰 기반 블록체인 혁명에서는 한국이 공세적 포지션에서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다"며 "세계적 규모와 기술력을 확보한 업비트는 대한민국 대표주자로서 글로벌 무대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오 대표는 업비트의 경쟁력을 강조했다. 그는 "두나무에서 운영하는 업비트는 작년 기준 현물거래 금액이 1740조로 국내 1위 거래소일 뿐만 아니라 글로벌로도 톱4 안에 드는 거래량을 가지고 있다"며 "누적 가입자 수는 1200만명에 이르고 초당 2만건의 거래 체결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세계적인 거래소"라고 말했다.

이어 "업비트가 원화기반 스테이블 코인을 지원한다면 한국의 금융이 아시아를 거쳐 글로벌로 진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금융당국 차원의 규제 완화도 원한다는 뜻을 피력했다. 오 대표는 "미국에서 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 관련 사업이 한국에서도 가능하도록 정책적 지원이 있다면 업비트는 국가대표 선수로서 글로벌에서 당당하게 경쟁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오 대표는 "스테이블코인은 금융과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가교이자 금융 주권의 핵심으로 부상했다"며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성공적 활성화는 거래소의 유통 역량과 블록체인 인프라 확산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그는 "두나무는 자체 블록체인 기와 체인과 기와 월렛을 UDC 무대에서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기와체인은 옵티미스틱 롤업 아키텍쳐를 기반으로 하는데 옵티미스틱 롤업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효율성과 확장성을 개선하기 위해 설계된 레이어2 스케일링 솔루션이다. 겹겹이 모여 지붕을 이루는 기와처럼 블록체인 상에서 겹겹이 쌓이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체인이 되길 바라는 뜻이 담겼다.

오 대표는 "두나무는 법인용 수탁 서비스 업비트 커스터디와 글로벌에서 인정받은 트래블룰 솔루션 베리파이 바스프까지 준비하며 K블록체인 생태계 확장에 앞장서 왔다"며 "대한민국이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리더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