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군부대 폭발 사고 원인이 된 모의탄이 과거 폭발 가능성이 제기돼 한때 사용 중지된 적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진은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이 공개한 모의탄. /사진=유용원 의원 SNS 캡처
파주 육군 포병부대에서 폭발해 10명의 부상자가 나온 '폭발효과 묘사탄'이 과거 폭발 가능성이 제기돼 한때 사용 중지된 적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10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은 자신의 SNS를 통해 "이 탄은 전기적 신호가 가해졌을 때 정상 폭발하지만, 간혹 상부 마개를 통해 물이 스며들거나 고온에 오래 노출될 경우나 비정상적인 스파크 등으로 인해 폭발할 수 있어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실제 '사용자 운용 미흡'으로 인한 폭발 가능성이 제기돼 군 내부에서 한때 사용 중지 지시가 내려졌던 적이 있다"면서 "군은 이번 폭발이 어떤 원인으로 발생했는지 면밀히 조사하고, 미흡한 부분이 식별된다면 조속한 시정조치를 통해 유사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주길 바란다. 교육 훈련 간에는 우리 장병들의 안전이 그 무엇보다 우선이다. 부상 장병들의 빠른 쾌유를 진심으로 기원한다"고 적었다.

앞서 지난 10일 오후 3시25분쯤 경기 파주시 적성면의 K9 자주포 운용 포병부대에서 포병 비사격 훈련 중 발사음과 연기를 묘사하는 폭발효과 모의탄이 폭발해 장병 10명이 부상을 입어 군 및 민간 병원으로 이송됐다.

사고가 발생한 모의탄은 가로 17.5㎜, 세로 53.3㎜로 성인 손가락과 비슷한 크기다. 개당 무게는 폭음제 3g을 포함해 10g으로 K9 자주포 포신 끝에 장착하는 묘사기에 총 24발이 들어간다. 정상 작동할 경우 전기 신호를 보내면 1발씩 작동해 폭음을 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