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노동조합 조합원들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로비에서 금감원 내 금융소비자보호처 분리 및 공공기관 지정 등 최근 금융감독체계 조직 개편 반대 시위를 하고 있다./사진-뉴스1
"금융소비자 보호가 운명을 다 했다."

금융감독원 직원들이 금융소비자보호원 분리와 공공기관 지정에 반발해 사흘째 집단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금감원 노동조합은 여의도 로비에 부고장을 걸고 명패를 내려놨다. 금감원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첫 회의를 열고 1999년 설립 후 처음으로 파업 검토에 들어갔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 직원 700여명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금감원 1층 로비에 모여 금소원 분리, 공공기관 지정 철회 시위를 벌였다. 직원들은 상·하의를 검은색으로 맞춰 입고 '금소원 분리 철회하라' 등의 팻말을 들었다.

정부가 지난 7일 발표한 정부 조직개편안에 따르면 금융위는 내년 1월2일부터 국내 금융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에서 분리된 재정경제부로 이관하고 금감위로 이름을 바꿔 금융감독과 소비자보호에 집중한다.

금감위는 '증권선물위원회'와 '금융소비자보호위원회'를 설치한다. 또한 금감원과 금소처를 분리·신설한 금소원 등 두 조직을 공공기관으로 지정한다. 금감위원장과 금감원장은 겸임할 수 없으며 금감위는 금감원과 금소원을 지도·감독한다.


이번 조직개편으로 금융당국은 재정경제부(금융정책)·금감위·금감원·금소원 등 4개 기관으로 쪼개지는 셈이다. 금감원 노조는 금소원으로 격상시켜 별도 조직으로 운영하면 업무 중복 등 혼선이 불가피하다고 반발하고 있다.

정보섭 금감원 노조 위원장 직무대행은 "향후 투쟁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윤태완 노조 부위원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비대위를 발족했고 이날 첫 회의를 연다"며 "국장급 인사에도 비대위 합류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금감원 비대위는 내일 금감원을 방문하는 국제통화기구(IMF) 협의단을 만나 공공기관 재지정에 따른 금감원 독립성 침해 우려를 전달할 계획이다. 금감원 노조 관계자는 "이찬진 원장에게 면담을 요청했고 내일 중 만날 것으로 보인다"며 "노조와 비대위는 면담 이후 추가 대응 방향을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3대(내란·김건희·해병대원) 특검법 개정안과 관련 여야 합의를 일방 파기했다. 민주당은 전날 회동에서 3대 특검법 수정을 양보하는 대신 국민의힘으로부터 정부 조직 개편의 핵심 중 하나인 금감 설치에 대한 협조를 얻어 냈으나 의원들과 지지자들의 반발이 터져나오자 합의를 번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