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한국은행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정부 가계부채 강화 방안 시행 이후 고가주택 거래 비중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월 서울의 8억6000만원 초과, 12억원 초과 주택 거래 비중이 각각 36.8%, 23.2%로 전월 51.3%, 33.9% 대비 급감했다.
가계대출 역시 감소세다.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7월 기준 전월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한은은 "6·27 대책에 따른 한도 감소 등 직접적 효과뿐 아니라 금융기관이 자율적으로 가계대출 관리 조치를 강화했다"며 "생활자금용 주담대와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대책 효과가 오래가지 못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보고서는 "서울 지역 주택가격 상승 기대가 충분히 가라앉지 않은 상황"이라며 "지역 간 전이효과, 공급 부족 우려, 금융 여건 완화 등이 맞물릴 경우 수도권 주택시장이 재차 과열되고 가계부채 증가세도 다시 보일 수 있다"고 짚었다.
금리 인하 효과는 올 하반기부터 뚜렷해질 전망이다. 지난 6월 이후 경제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된 가운데 금리 인하 효과가 성장에 반영되는 시차가 2~3분기라는 점 때문이다.
한은 관계자는 "주택시장과 가계부채 등에 대한 추세는 좀 더 점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과거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에도 주택시장은 통상 수개월 둔화세를 보이다 재차 반등하는 양상을 나타냈다"고 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