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는 전북 군산시에서 열린 행정안전부 주관 '제42회 지역정보화 우수사례 발표대회'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랜섬웨어 방어체계 구축' 사례로 행정안전부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성과는 개인정보와 디지털 정보자산의 가치가 높아지는 가운데 광주시가 AI 중심도시로서 정보보안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대회는 전국 16개 시·도(전북 제외)가 출품한 사례 중 본선에 오른 10개 기관이 경합을 벌였다. 광주시는 사이버보안 기술력, 타 지자체 파급 효과, 확장성 등 전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장관상을 수상했다.
광주시가 개발한 AI 보안관제 시스템은 신·변종 랜섬웨어 공격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기존 경계형 보안 체계의 한계를 극복한 것이 특징이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제공한 46종의 AI 학습용 보안 데이터셋을 활용해 업무용 PC 데이터를 그룹화하고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 정밀도를 높였다.
그 결과 24종의 랜섬웨어를 활용한 모의 공격에서 탐지 정확도 98.2%를 기록했으며 기존 장비로는 탐지하기 어려웠던 미확인 랜섬웨어 7종까지 AI가 성공적으로 식별했다.
시스템 도입 효과도 뚜렷하다. 도입 전 월평균 5천 건 수준이던 보안업무가 현재는 1만5000 건 이상 자동 분석·관제가 가능해 처리량이 3배 늘었으며 위협 탐지부터 대응까지 소요 시간이 10분에서 3분으로 단축됐다.
광주시는 현재 AI 기반 보안관제 시스템과 24시간 사이버침해대응센터를 운영 중이다. 올해 8월까지 악성코드 3575건,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 1만4046건 등 총 10만5807건의 사이버 위협을 탐지해 모두 대응에 성공했다.
세계양궁선수권대회 기간에는 별도의 사이버보안상황실을 운영해 대회 운영망의 실시간 보안관제를 수행하는 등 국제행사 안전도 보장했다.
시는 앞으로도 AI 기반 행정혁신과 사이버보안 고도화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디지털 신기술 지원, 역량 강화 교육, 컨설팅 및 기술 지원을 확대해 데이터 주권을 지키는 AI 보안정책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병철 시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장관상 수상은 광주시가 추구하는 AI 기반 행정혁신도시 실현의 대표 사례"라며 "시민 개인정보와 행정정보 자산을 보호하는 보안정책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