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오는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신관에서 전 금융권 CISO와 만나 보안 관리를 주문할 방침이다.
김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통신사 및 금융사 해킹사고 관련 긴급 현안 점검 회의를 열고 "모든 의혹을 낱낱이 해소하도록 하겠다"며 "유사한 해킹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통신·금융권 정보보호 체계를 전면적으로 재정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과기정통부, 금융위원회, 개인정보위 등 모든 관계 부처는 정보보안 대책 마련을 최우선으로 두고 챙겨주시길 바란다"고 지시했다.
김 총리는 "당장 가시적인 이익이나 성과로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지만, 통신보안·금융보안은 통신사와 금융회사의 가장 기본적인 사명이자 소비자 신뢰의 첫걸음"이라며 "기업의 신고가 있어야만 조사할 수 있었던 그간의 상황을 직권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조사 권한을 강화하고 보안 의무 위반에 대한 제재도 한층 강화해 책임을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권 부위원장은 내일 전 금융권 CISO와 만나 철저한 보안 관리를 당부하는 한편 CISO의 권한 강화 등에 대해 논의할 전망이다.
앞서 롯데카드 960만명 회원 중 297만명의 고객 정보가 유출되는 초유의 해킹 사고가 발생했다. 이 중 28만명의 카드 비밀번호와 CVC 번호까지 유출되며 부정 사용 우려도 배제할 수 없다.
금융권은 올 들어 SGI서울보증, 웰컴금융그룹에 이어 롯데카드까지 해킹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며 '디지털 금융' 전반에 대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은 롯데카드 사태 이후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징벌적 과징금'을 포함해 근본적인 제도 개선에 착수했다.
금융위는 소비자가 금융회사별 보안 수준을 비교하고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관련 공시 강화 등을 통해 금융회사가 상시로 보안을 관리할 수 있도록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해킹사고가 발생해 금융회사가 즉각 시스템 복구 및 소비자 구제 등을 조처할 수 있도록 전 금융권의 대응 매뉴얼 고도화 등도 추진한다.
권 부위원장은 지난 1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해킹 대응 정부 합동 브리핑에서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금융권 해킹 등 침해사고에 대해 매우 엄중하고 무겁게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