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7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잠정)'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기준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은 0.57%로 전월 말(0.52%) 대비 0.05%포인트(p) 늘었다.
7월 신규연체 발생액은 약 2조8000억원으로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약 1조6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약 4조1000억원 급감했다.
부문별 현황을 보면 기업대출 연체율은 0.67%로 전월 0.60% 대비 0.07%p 증가했다. 이 중 중소법인 연체율이 전월 대비 0.11%p 오르며 가장 큰 오름세를 보였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3%로 전월 0.41% 대비 0.02%p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9%로 전월 대비 0.01%p 소폭 내렸다. 신용대출 등 주담대를 제외한 가계대출 연체율은 0.86%로 전월 대비 0.08%p 상승했다.
통상 연체율은 은행권 연체채권 상·매각이 적극적으로 이뤄지는 분기 말 하락하는 추세를 보인다.
지난 6월 은행권이 올 상반기 말을 맞아 연체채권 규모를 늘려 연체율이 낮아지는 등 관리를 강화했다. 이에 7월 말 기준 연체율은 상대적으로 오르는 기저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당국은 연체율 상승폭이 크고 취약부문 대출 비중이 높은 은행을 중심으로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7월 말 연체율은 연체채권 정리규모 감소 등으로 전월 말 대비 상승했다"며 "대내외 불확실성과 내수경기 회복 지연 등으로 신용위험이 확대할 가능성에 대비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