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민 부산시의회 의장이 <머니S>와의 인터뷰를 통해 산업은행 부산 이전을 촉구하는 등 자신의 의견을 피력했다./사진=부산시의회
안성민 부산광역시의회 의장이 산업은행 부산 이전 무산 위기와 관련해 정부를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최근 <머니S>와의 인터뷰를 통해 "산업은행 이전은 단순히 기관 하나의 이전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 경제 구조를 수도권과 남부권이라는 두 축으로 재편하기 위한 국가 비전"이라며 "정부가 대선 공약을 뒤집고 노조 반발과 일부 서울시 여론에만 휘둘리는 것은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안 의장은 정부가 대안으로 내놓은 '동남권투자공사' 설립안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의견을 피력했다. 그는 "자금 조달의 한계, 민간 자본 유치의 난관, 기존 정책금융기관과의 중복 등 구조적 문제는 이미 명확하다"며 "과거 한국정책금융공사 실패 사례를 감안하면 지역사회가 쉽게 신뢰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같은 비판은 그가 지난 3년간 지방의회 운영을 통해 체감한 현실과도 맞닿아 있다. 안 의장은 제19대 전반기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회장직을 맡아 지방의회 위상 강화에 주력했다. 그는 "국회 보좌관으로 10년간 쌓은 경험을 토대로 중앙정부와 협상 테이블에서 지방의 목소리를 끌어냈다"며 "지방의회법 제정 추진, 의정활동비 현실화, 의회 사무기구 개선, 중간직급 신설 등 가시적인 성과를 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정치적 변수 탓에 법 제정까지 완성하지는 못했지만 후임 협의회가 이어갈 제도적 토대는 마련했다"며 균형발전에 대한 국가 의지와 제도적 뒷받침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안 의장은 극단적 수도권 집중 체제를 정면으로 비판하며 "평생의 소원은 부산 독립"이라고까지 말했다. "만약 부산이 해양·항만·물류 중심 도시로서 자치권을 확보했다면 지금쯤 싱가포르 못지않은 글로벌 도시로 성장했을 것"이라며 "균형발전 공약 파기는 단순한 행정 편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경쟁력 퇴보로 이어질 중대한 사안"이라고 꼬집었다.

안 의장은 부산시정의 감시·견제자로서 "거수기 역할은 하지 않겠다"고 분명히 밝혔다. 실제로 부산시의회는 공공기관장 인사청문회 의무화, 구덕운동장 재개발 및 백양터널 통행료 재검토, 오페라하우스 운영 감사 청구 등 주요 현안에서 집행부와 대립각을 세워왔다.

남은 임기와 관련해 그는 "새로운 사업을 벌이기보다 현안 정리에 집중하겠다"며 "BNK부산은행과 함께 추진 중인 2천억 원 규모 민생 지원 프로그램을 비롯해 해수부 이전, HMM과 해양 공공기관 이전, 해사법원 설립 등 과제들을 끝까지 챙기겠다"고 밝혔다.

정치 인생 30년을 맞은 안 의장은 마지막으로 "'예·의·염·치' 네 글자를 가슴에 새기며 염치를 아는 정치인으로 남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