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전국 14개 지역 결혼 서비스 업체 504개 사를 대상으로 지난달 18∼29일 결혼식장과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패키지 비용을 조사한 결과 결혼 서비스 전체비용은 지난달 평균 2160만원이었다. 최근 3개월 동안 상승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강남이 3509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경상이 1181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수도권의 결혼 서비스 전체비용은 2665만원으로 비수도권 1511만원보다 1154만원 비쌌다. 지난 6월과 비교하면 수도권은 2555만원에서 2665만원으로 4.3% 상승했고, 비수도권은 1541만원에서 1511만원으로 1.9% 하락했다.
지난달 결혼식장 중간가격은 1580만원으로, 지난 6월 조사 대비 1.3%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강남 3150만원, 서울 강남 외 지역 2060만원, 충청 1680만원 등의 순이었다. 부산은 775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결혼식장 비용 중 대관료 중간가격은 350만원으로, 지난 6월 조사 대비 16.7% 상승했다. 대관료도 서울 강남이 750만원으로 가장 비쌌다. 같은 기간 690만원에서 750만원으로 8.7%(60만원) 상승한 셈이다. 서울 강남 외 지역은 570만원, 경기 400만원 등의 순이었고 제주가 80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식재료와 장식·꽃 등 주요 자재의 구매 단가 상승과 인건비 인상 등을 결혼 서비스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지난달 전국 결혼식장의 1인당 식대 중간가격은 6만원으로 지난 6월 조사 대비 3.4%(2000원) 상승했다. 축의금 5만원으로는 식대 비용이 부족하게 된 것이다. 특히 서울 강남은 8만8000원, 서울 강남 외 지역은 7만 원, 경기·광주 6만2000원 순이었다. 제주는 4만2000원으로 가장 낮았다.
스드메 패키지와 개별 서비스(옵션)의 지난달 중간가격은 지난 6월과 큰 차이가 없었다. 스튜디오는 132만원으로 가격 변동이 없었고, 드레스는 2.6%(4만원) 오른 155만원, 메이크업은 5.5%(4만원) 상승한 77만원이었다.
소비자원이 결혼 준비 대행 업체 20개 사의 계약서를 수집해 분석한 결과, 모든 업체에서 불공정한 약관 조항이 확인됐다. 19개 사(95%)는 '원본·수정본' '드레스 피팅비' '메이크업 얼리스타트비' 등 필수옵션을 별도 항목으로 구성했고, 13개 사(65%)는 옵션 가격을 명확하게 안내하지 않고 '별도'라고만 표기했다. 14개 사(70%)는 위약금 세부 기준을 안내하지 않고 각 업체의 위약금 기준에 의거 발생한다고만 언급했다.
또 15개 사(75%)는 어떠한 경우에도 계약금을 환급하지 않는다는 조건을 포함했고, 4개 사(20%)는 소비자와 스드메 업체 간 거래에서 결혼 준비 대행 업체의 책임을 배제하는 규정을 뒀다. 또 3개 사(15%)는 결혼 준비 대행 서비스 계약서는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에 대한 증서로서 기명채권의 일종이므로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양도양수가 허용됨에도 이를 금지하는 조항을 뒀고, 1개 사(5%)는 관할법원을 업체 소재지 법원으로 한다는 조항을 뒀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를 공정거래위원회와 공유하고 조사 대상 20개 사에 대해 약관 개선을 권장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