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닛은 오는 17일부터 21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2025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루닛 스코프 활용 면역항암제 치료 반응 예측 연구 3건을 공개한다고 13일 밝혔다.
이탈리아 피사대학교 의과대학 종양내과 키아라 크레몰리니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진행한 구연 발표 연구는 정상 불일치 복구형 전이성 대장암(pMMR mCRC) 환자를 대상으로 폴피리녹스·베바시주맙 치료에 면역항암제 아테졸리주맙을 추가한 병용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바이오마커 개발에 관한 내용이다.
연구진은 환자 161명의 조직 슬라이드를 루닛 스코프로 분석해 림프구, 종양세포 등 6종 세포의 밀도를 정량화했다.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AI는 환자를 바이오마커 수치가 높은 A그룹과 그렇지 않은 B그룹으로 분류했으며 전체 환자의 약 70%(113명)가 A그룹으로 분류됐다.
분석 결과 아테졸리주맙 병용치료를 받은 환자 중 A그룹은 B그룹 대비 무진행 생존기간(PFS)과 전체 생존기간(OS)이 유의미하게 개선됐다. 화학요법 단독치료를 진행한 경우 A그룹과 B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아테졸리주맙을 추가한 병용치료의 경우 A그룹에서만 치료 효과가 나타났다. 루닛 스코프가 면역항암제에 특이적인 예측 바이오마커임이 확인됐다는 의미다.
이번 연구는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었던 정상 불일치 복구형 전이성 대장암 환자 중 실제 반응 가능성이 큰 환자군을 AI 분석으로 선별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이번 ESMO를 통해 루닛이 선보일 연구는 AI가 실제 환자의 생존기간 개선과 연결될 수 있음을 데이터로 입증한 성과"라며 "루닛 스코프가 다양한 암에서 맞춤 치료 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핵심 도구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