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리언트의 텔라세벡이 주목받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는 무관함. /사진=클립아트코리아
큐리언트의 신약 후보물질 텔라세벡이 세계 유수의 연구기관들이 참여한 최신 연구에서 주목받고 있다.

큐리언트(115180)는 존슨앤드존슨(J&J) 제약 부문인 얀센을 비롯한 주요 연구기관들이 참여한 연구에서 텔라세벡의 사이토크롬 bc1 저해 기전이 향후 결핵 치료 전략에서 유력한 핵심축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최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게재된 논문 '미래의 결핵 치료요법에서의 사이토크롬 bc1 저해제의 역할'에서는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과 함께 결핵 및 항생제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콜로라도 주립대학교 등이 공동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세계적 기관들이 텔라세벡의 사이토크롬 bc1 복합체 저해 기전을 미래 결핵 치료 유망 패러다임으로 지목하고 후속 연구 결과를 발표한 것은 큐리언트의 R&D(연구·개발) 방향이 글로벌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회사 관계자는 설명했다.

논문은 텔라세벡에 대해 "사이토크롬 bc1 복합체 저해를 통해 결핵균의 세포 에너지 생성을 표적으로 하는 최초(first-in-class)의 항결핵제"라며 "Q203(텔라세벡)의 발견과 성공적인 2A상 임상시험이 해당 기전의 유효성을 부각시켰다"고 언급했다.


논문은 임상 환자에서 분리된 결핵균이 실험실 균주보다 사이토크롬 bc1 억제제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제시하며 텔라세벡 기전의 임상적 유효성과 치료 전략으로서의 전환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큐리언트 관계자는 "J&J와 같은 거대 제약사와 세계 최고 권위의 연구기관들이 텔라세벡의 기전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활발히 이어가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며 "텔라세벡이 단순히 새로운 약물 후보를 넘어 결핵 치료의 새로운 역사를 쓰는 패러다임 시프터임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