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일 경북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 내 마련된 APEC 정상회의 국제미디어센터(IMC)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경주선언 채택에 대한 내용을 설명했다. /사진=뉴시스
경주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21개 회원국들이 1일 '경주선언'을 비롯해 AI(인공지능), 인구 문제 대응을 위한 3건의 문서를 공식 채택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APEC 21개국 회원 정상들과 정상 선언인 'APEC 정상 경주선언'을 비롯해 'APEC AI 이니셔티브', 'APEC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공동 프레임워크' 등 3개 성과 문서를 채택했다고 밝혔다.


경주선언은 올해 APEC의 3대 중점 과제인 ▲연결(Connect) ▲혁신(Innovate) ▲번영(Prosper)을 기본 틀로 무역·투자, 디지털·혁신, 포용적 성장 등 APEC의 핵심 현안에 대한 주요 논의가 포괄적으로 담겼다. AI 협력 및 인구구조 변화 대응에 대한 회원들의 공동 인식과 협력 의지도 포함됐다.

국제경제의 불확실성이 심화하는 가운데 21개 회원국이 무역을 비롯한 주요 글로벌 경제 현안에 대해 포괄적 협력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이를 통해 APEC 회원들은 연대와 협력정신을 복원하고 아태 지역 경제번영을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갈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경주선언문은 문화 창조산업을 아태 지역의 신성장동력으로 인정하고 협력 필요성을 명문화했다. 이는 문화 창조산업을 명시한 APEC 첫 정상 문서다. 앞으로 K컬쳐(문화)가 아태 지역 내 성장동력으로 자리 잡는 계기가 마련될 기대된다.


'APEC AI 이니셔티브'는 모든 회원이 AI 전환 과정에 참여하고, AI 기술 발전의 혜택을 공유할 수 있도록 ▲AI 혁신을 통한 경제성장 촉진 ▲ 역량 강화 및 AI 혜택 확산 ▲민간의 회복력 있는 AI 인프라 투자 확대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는 APEC 최초의 명문화된 AI 공동 비전이자 미국과 중국이 모두 참여한 AI에 관한 최초의 정상급 합의문이다. 정부의 'AI 기본사회 구현'과 '아태 AI 센터' 설립 등 AI 기본정책과 실질적 AI 협력 방안을 반영했다.

'APEC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공동 프레임워크'는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가 역내 공통의 도전 과제라는 인식에 따라 마련됐다.

구체적으로는 ▲회복력 있는 사회시스템 구축 ▲인적자원 개발의 현대화 ▲기술 기반 보건·돌봄 서비스 강화 ▲모두를 위한 경제 역량 제고 ▲역내 대화·협력 촉진 등 5대 중점 분야별 정책 방향과 협력 방안을 내놨다.

대통령실은 APEC 최초의 포괄적 인구 협력 이니셔티브로서 미래세대 고용·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청년 역량 강화와 기술혁신을 통해 인구구조 변화를 새로운 성장 기회로 전환하기 위한 협력의 취지에서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내년 'APEC 인구정책포럼'을 개최해 동 분야에서의 역내 협력과 정책 연계 강화를 지속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