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내 보일러타워 붕괴 사고에서 매몰된 7명 중 1명이 곧 구조될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6일 오후 울산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에서 야간 수색 작업이 이어지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1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내 보일러타워 붕괴 사고에서 매몰된 7명 중 2명의 위치가 육안으로 확인된 가운데, 이 중 1명이 동트기 전 구조될 것으로 보인다.
6일 김정식 울산남부소방서 예방안전과장은 사고 현장에서 열린 4차 브리핑을 통해 "매몰된 7명 중 2명의 위치를 확인해 구조작업을 이어가고 있다"면서 "무거운 붕괴 구조물 탓에 구조작업이 매우 어렵다. 8개 구조대를 계속 투입해 수색 중"이라고 밝혔다.

사고는 4~6호기 보일러타워 가운데 5호기의 취약화 작업 도중 서쪽 지지대 일부가 무너지면서 발생했다. 취약화 작업은 구조물 철거를 위해 기둥 등을 미리 잘라내는 작업이다.


이번 붕괴로 근로자 9명이 타워에 매몰돼 밤 11시 기준 2명이 구조됐다. 구조된 2명 중 1명은 타워 밖 크레인 작업 중 탈출했고, 나머지 1명은 구조물에 깔리기 전 자력으로 탈출해 모두 생명에 지장이 없는 상태다.

소방당국은 매몰된 2명의 위치를 확인하고 자갈과 흙을 파내며 구조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이 가운데 팔이 구조물에 깔린 상태지만 의식이 있는 매몰자 1명이 동트기 전 구조될 것으로 보고 있다. 나머지 발견자 1명의 상태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 나머지 5명의 매몰자는 아직 위치가 확인되지 않았다.

소방당국은 "남은 4, 6호기는 위험성이 있어 안정화 작업이 필요하다. 와이어를 이용해 6호기를 굴뚝에 묶는 작업을 할 예정이고, 4호기는 와이어 안정화 작업조차 하기 어려운 상태"라고 설명했다. 현장에서는 구조기술사 등 전문가들이 모여서 구조 방법 등을 계속 논의하고 있다.


붕괴 현장에는 조명이 설치돼 야간에도 구조를 위한 대원들의 활동은 계속될 예정이다. 구조대원들은 붕괴 구조물 내부로 겨우 진입해 매몰자를 찾고 있지만, 진척이 더딘 상황이다. 구조대원들은 추가 붕괴 위험에 대비해 교대로 수색하고 있다.

소방당국은 사고 대응을 위해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하고 인력 206명과 장비 69대를 투입했다. 고용노동부는 사태 파악을 위해 울산지청 산재예방지도과, 건설산재지도과 등 담당자들을 현장에 급파했다. 행정안전부도 기후에너지환경부와 고용노동부 등에 중앙사고수습본부 가동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