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2024사업연도) 코스피 상장기업 기업 지배구조 보고서 점검·분석 결과에 따르면 의무공시 대상인 자산총액 5000억원 이상 상장기업은 541사이며 자율공시 기업 8사를 포함하면 공시업체는 총 549사다.
거래소는 지난 6~8월 보고서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 오 기재 등에 대해 점검한 뒤 기재 오류가 발생한 31개 기업에 대해 9월 중 정정 신고를 요청했다.
투명 기업지배구조 확립을 위해 준수를 장려하는 지표인 13개 핵심지표의 올해 전체 준수율은 55.3%로 전년(51.2%) 대비 4.1%포인트 늘었다.
13개 핵심 지표 항목은 ▲전자투표 실시 ▲주주총회 집중일 이외 개최 ▲집중투표제 채택 ▲이사회 구성원의 성별 다양성 등이다.
자산 2조원 이상 기업의 준수율은 67.1%인 반면 자산 5000억 이상~1조원 미만 기업은 38.6%로 자산규모별 격차를 보였다.
내부감사기구와 외부감사인의 소통(53.8%포인트), 이사회 내 성별 다양성(53.4%p), 배당정책 연 1회 이상 통지(47.1%포인트)는 자산규모별 격차가 컸다.
이밖에 거래소는 주주총회 전 주주에게 충분한 검토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주총일과 소집공고일 사이 기간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올해 주총일과 소집공고일 사이의 평균 기간은 21.9일로 전년 대비 1.3일 늘었다.
거래소는 내년 코스피 전체 상장기업으로 의무 공시 대상이 확대됨에 따라 원활한 공시를 위해 안내 자료를 배포할 계획이다. 보고서 작성 관련 일대일 컨설팅, 교육 등을 통해 상장 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