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최고위원은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당대표-최고위원 선출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1인 1표제 도입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며 "1인 1표제 원칙 찬반 문제라기보다 절차의 정당성과 민주성 확보, 취약지역에 대한 우려 등이 논란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민주당이 지난 수십 년 동안 운영해 온 중요한 제도를 충분한 숙의 과정 없이 단 며칠 만에 밀어붙이기 식으로 폐지하는 게 맞는지 하는것이 문제 제기"라며 "더구나 왜 대통령 순방 중에 이의가 많은 안건을 밀어붙이는지. 당원들을 분열시킬 필요가 있는지"라고 말했다.
이 최고위원은 "지금도 여전히 반대하고 있는 대의원뿐만이 아니라 많은 권리 당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며 "다시 한번 충분한 시간을 갖고 다양한 방식의 논의를 통해서 당원 전반의 동의와 반대하는 사람들도 '이 정도면 절차를 충분히 거쳤고 수긍할 수 있다'는 숙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2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우리 당내에는 당원들조차도 대의원제의 사실상 폐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갖는 이들이 다수 여전히 있다"며 "이런 분들이 있는 상황에서 충분한 숙의를 거치지 않고 이렇게 빨리 급하게 처리할 이유가 없다"고 전했다.
이 최고위원은 이재명 대표 시절을 언급하며 "2023년 우리 당이 60대1이던 대의원 대 권리당원 표 반영 비율을 20대1로 축소했을 땐 지금과 다르게 충분한 숙의 과정을 거쳤다"며 "당시에도 1인 1표제에 대한 열망은 매우 컸다. 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 건 맞지만 한 걸음씩 점진적으로 바꿔나가자는 합의가 있었다. 불과 얼마 지나지 않은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최근 전체 당원의 16.8%밖에 참여하지 않은 여론조사 등을 갖고 1인 1표제 도입이 무조건 정해졌으니 따라오란 식은 민주적 절차 부합하지 않는다"며 "이 대표 시절 우리가 노력한 전국정당화를 위해서라도 대의원제 전면 폐지는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