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현대건설에 따르면 와이케이스틸(YK Steel)과 '당진공장 CCU 기술 적용 및 상용화 추진'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전날 서울 종로구 계동 본사에서 열린 업무협약식에는 김재영 현대건설 기술연구원장, 장승호 와이케이스틸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두 회사는 와이케이스틸 당진공장에 하루 150톤(t)의 이산화탄소(CO₂)를 포집하는 CCU(Carbon Capture & Utilization) 플랜트 구축을 위한 상호 협력을 약속했다.
현대건설은 제강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액화하는 플랜트 시설과 관련 기술 등을 검증한다. 와이케이스틸은 제반 설비 연계와 사업장 확대를 위한 수요처 발굴을 담당한다.
당진공장에 CCU 플랜트가 구축되면 와이케이스틸 철강 제품의 저탄소 생산이 가능해진다. 포집한 이산화탄소는 액화 과정을 거쳐 액체 탄산·드라이아이스로 활용된다. 인근 스마트팜과 연계해 에너지 순환 클러스터도 운영할 계획이다.
최근 정부가 강도 높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발표하고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이 시행되며 고탄소 산업군의 탄소 경쟁력이 주목된다. 현대건설은 이에 발맞춰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의 역량 강화와 기술 고도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달 경기 평택 수소 특화단지에 준공한 'CO₂ 포집·액화 통합공정 실증시설'(하루 81t 포집)의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대규모 플랜트 사업장 진출도 모색 중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회사의 탄소저감 기술이 실증연구를 넘어 상업제품 생산시설에 상용화할 수 있게 된 의미 있는 첫발"이라며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이 대형 플랜트의 필수 공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번 CCU 설비 구축에 적극 협력해 향후 탄소중립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